3D 프린팅 구조물 기반 블라인드박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다차원 방사선영상해독력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구조물 기반 블라인드박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다차원 방사선영상해독력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진행된 디지털의료영상학 실습에 참여한 방사선학과 2학년의 83명(남자: 49명, 여자: 34명)이었다. 학습방법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자체 설계한 블라인드박스 내 구조물을 출력하였다. 이를 엑스선 촬영한 한 후 소그룹별로 블라인드박스 내 구조물영상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로 3차원구조물을 지점토로 자체 제작하고 엑스선 촬영한 후 블라인드박스 내 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7; no. 1; pp. 131 - 139
Main Authors 성열훈, Youl-hun Se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사선학회 28.0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0620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구조물 기반 블라인드박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다차원 방사선영상해독력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진행된 디지털의료영상학 실습에 참여한 방사선학과 2학년의 83명(남자: 49명, 여자: 34명)이었다. 학습방법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자체 설계한 블라인드박스 내 구조물을 출력하였다. 이를 엑스선 촬영한 한 후 소그룹별로 블라인드박스 내 구조물영상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로 3차원구조물을 지점토로 자체 제작하고 엑스선 촬영한 후 블라인드박스 내 구조물영상과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평가방법은 수업성실도(평소 수업태도, 예·복습 정도, 학습목표이해도), 방사선영상해독력(엑스선감쇠개념, 대조도개념, 윈도우닝개념, 3차원해독력), 수업만족도(흥미도, 외부추천도, 수업몰입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무기명 자기 기입방식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든 평가항목이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 없이 높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블라인드박스를 이용한 실습교육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방사선교육공학의 의미있는 사례로써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전공과목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콘텐츠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are purposed to find the educational effect of practical training using a 3D printed structure-based blind box on multidimensional radiographic image interpretation. The subjects were 83 (male: 49, female: 34) 2nd year radiological scienc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igital medical imaging practice that was conducted for 3 years from 2020 to 2022. The learning method used 3D printing technology to print out the inside structure of the blind box designed by itself. After taking X-rays 3 times (x, y, z axis), the structure images in the blind box were analyzed for each small group. We made the 3D structure that was self-made with clay based on our 2D radiographic images. After taking X-rays of the 3D structure, it was compared whether it matches the structural image of the blind box. The educational effect for the practical training surveyed class faithfulness, radiographic image interpretation ability (attenuation concept, contrast concept, windowing concept, 3-dimensional reading ability), class satisfaction (interest, external recommendation, immersion) on a 5-point Likert scale as an anonymous student self-writing method. As a result, all evaluation items had high positive effects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Practical education using blind boxes is a meaningful example of radiology education technology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content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and increase satisfaction with major subjects.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309043207056
ISSN:1976-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