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해안식물 10종의 분포 변화 추정
염습지 개발과 기후온난화로 인해 해안지역의 생물 서식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환경변화로 인한 한반도 해안식물들의 미래분포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Max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안식물 10종의 예상분포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한반도 동·서·남해안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상분포지 추정은 해안식물의 동아시아 지역 분포자료와 WorldClim 2.0의 19개 기후변수를 사용하였다. 3개의 대기대순환모델(general circulation model; CCSM4, MIROC-ESM 그리고 MPI-ESM-LR)과 4가지 온실가스시나리오(...
Saved in:
Published in | Sigmul bunryu hag-hoej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50; no. 2; pp. 154 - 165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물분류학회
30.06.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8318 |
Cover
Loading…
Summary: | 염습지 개발과 기후온난화로 인해 해안지역의 생물 서식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환경변화로 인한 한반도 해안식물들의 미래분포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Max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안식물 10종의 예상분포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한반도 동·서·남해안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상분포지 추정은 해안식물의 동아시아 지역 분포자료와 WorldClim 2.0의 19개 기후변수를 사용하였다. 3개의 대기대순환모델(general circulation model; CCSM4, MIROC-ESM 그리고 MPI-ESM-LR)과 4가지 온실가스시나리오(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2.5, 4.5, 6.0 그리고 8.5), 그리고 2개 기간(2050와 2070)이 반영된 미래 기후변수로 미래 예상분포지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연평균 기온이 적정 분포지 추정에 가장 높은 기여를 하였다. 미래에 분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류군은 갯메꽃, 갯방풍, 갯씀바귀, 갯완두, 해란초, 참골무꽃, 순비기나 무였으며, 분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류군은 갯사상자로 나타났다. 미래 분포가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생각되는 분류군은 수송나물, 통보리사초였다. 각 식물의 미래 예상분포지를 종합하여 분포평균을 계산한 결과 서해와 남해가 동해보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결과는 해안식물의 보전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Coastal regions are experiencing habitat changes due to coastal development and global warming. To estimate the future distribution of coastal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climate change,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en species of coastal plants was analyzed using the MaxEnt program. The study covered the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We used the distributional data of coastal plants of the East Asian region and the 19 climate variables of WorldClim 2.0. The future potential distribution was estimated using future climate variables projected from three general circulation models (CCSM4, MIROCESM, and MPI-ESM-LR), four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2.5, 4.5, 6.0, and 8.5), and two time periods (2050 and 2070). The annual mean temperature influenced the estimation of the potential distribution the most. Under predicted future distribution scenarios, Lathyrus japonicus, Glehnia littoralis, Calystegia soldanella, Vitex rotundifolia, Scutellaria strigillosa, Linaria japonica, and Ixeris repens are expected to show contracted distributions, whereas the distribution of Cnidium japonicum is expected to expand. Two species, Salsola komarovii and Carex kobomugi, are predicted to show similar distributions in the future compared to those in the present. The average potential distribution in the future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will be greater in the west and the south coastal regions than in the east coastal region.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baseline data to establish a conservation strategy for coastal plants. |
---|---|
Bibliography: |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019962560105 |
ISSN: | 1225-8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