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양지꽃(Potentilla discolor Bunge)의 초저온동결보존을 위한 최적 조건 탐색

본 연구는 희귀자생식물인 솜양지꽃의 효율적인 초저온 보존 조건을 탐색하고자 행하였다. 종자의 활력은 PVS2와 PVS3 용액 처리구에서는 약 80% 이상으로 대조구보다 훨씬 높은 활력을 보였다. 종자의 활력은 PVS3가 PVS2 처리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자의 활력은 sucrose처리에도 불구하고 대조구보다 낮았다. PVS2의 60분 처리구와 PVS3의 30분 처리구에서 95%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그 외 처리구에서는 발아율이 낮았다. PVS2와 PVS3 처리구에서 배양된 유묘의 생장은 PVS2와 PVS3 용액 30분 처리구를 제외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07; no. 3; pp. 258 - 265
Main Authors 양우형, Woo Hyeong Yang, 용성현, Seong Hyeon Yong, 박동진, Dongjin Park, 설유원, Yuwon Seol, 최은지, Eunji Choi, 정미진, Mi Jin Jeong, 최명석, Myung Suk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산림과학회 30.09.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희귀자생식물인 솜양지꽃의 효율적인 초저온 보존 조건을 탐색하고자 행하였다. 종자의 활력은 PVS2와 PVS3 용액 처리구에서는 약 80% 이상으로 대조구보다 훨씬 높은 활력을 보였다. 종자의 활력은 PVS3가 PVS2 처리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자의 활력은 sucrose처리에도 불구하고 대조구보다 낮았다. PVS2의 60분 처리구와 PVS3의 30분 처리구에서 95%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그 외 처리구에서는 발아율이 낮았다. PVS2와 PVS3 처리구에서 배양된 유묘의 생장은 PVS2와 PVS3 용액 30분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에 비해 생장이 좋지 않았다. 두 가지 초저온동결보존법 간 유묘 생장에서는 encapsulation법과 vitrification법을 비교한 결과 미세한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솜양지꽃의 보존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cryopreservation condition of Potentilla discolor Bunge, a rare native plant. Seed viability was more than 80% in PVS2 and PVS3 solution treatments. Seed viability was higher in PVS3 than PVS2 treatment. Seed viability was lower than control in spite of sucrose pretreatment. The germination rate was 95% at 60 min of PVS2 treatment and 30 min of PVS3 treatment but the germination rate was low at other treatments. The growth of the seedling wasn't doing that of the control except for treat PVS2 and PVS3 solution for 30 mi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ncapsulation method and the vitrification method in the seedling growth between the two cryogenic storage method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future conservation methods of Potentilla discolor.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1831960580874
ISSN:2586-6613
2586-6621
DOI:10.14578/jkfs.2018.107.3.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