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시화 예술에서 자오 개념의 형성 및 발전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시와 회화에 나타난 자오 개념을 고찰하면서 그것의 변화 과정 및 그 범주를 탐구하는 데 있다. 중국 시화에서 자오는 작품 제작 및 목적에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특히 중국 시화가 융합적으로 발전하는 데 있어 자오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역할 한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중국시화에서의 자오 개념이 어떻게 변화·발전했는지를 작품을 통해 분석한다. 그리고 자오가 중국 시화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본다. 중국 고대예술에서 이 두 영역은 밀접하게 서로 관련성을 가지며 상호 발전해 왔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1; pp. 367 - 379
Main Authors 조위, Zhao Wei, 김승호, Kim Seung 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시와 회화에 나타난 자오 개념을 고찰하면서 그것의 변화 과정 및 그 범주를 탐구하는 데 있다. 중국 시화에서 자오는 작품 제작 및 목적에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특히 중국 시화가 융합적으로 발전하는 데 있어 자오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역할 한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중국시화에서의 자오 개념이 어떻게 변화·발전했는지를 작품을 통해 분석한다. 그리고 자오가 중국 시화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본다. 중국 고대예술에서 이 두 영역은 밀접하게 서로 관련성을 가지며 상호 발전해 왔다. 이러한 긴밀성은 중국 전통 시와 회화의 발전을 가속화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면서 종합적 성격의 문인화를 탄생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중국 원나라에서 발생한 문인화의 중심에는 자오 개념이 깊이 녹아 있다. ‘자오’의 사전적 의미는 스스로 유희를 즐기며 이를 찾는 것이다. 문인들은 문인화를 통해 자오를 실현하였다. 즉 문인들은 자기만족과 자기욕구를 전면에 내세우는 동시에 창작 활동 또한 전개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원나라 시기 문인화에서의 자오는 ‘교화를 이룸’이나 ‘인륜을 도움’ 등의 이전의 교육적 개념에서 벗어나, 작가 자신에 대한 관심으로 옮겨갈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 때문에 문인화에서 자오는 창작의 주요 기능이자 목적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자오는 독자적 연구 대상으로 등장하면서 중국 시화의 예술적 위상을 가늠하는 핵심요소로 구현될 수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자오는 창작자의 입장에서는 자기만족의 욕구이면서도 비평적 관점에서는 예술적 기능의 표상이고, 관찰자적 측면에서는 일종의 정신적 이념의 수용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오를 통한 본 연구는 중국 시화를 폭넓게 감상할 수 있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self-entertainment in Chinese poetry and painting, and explore its changing process and scope. In Chinese poetry and painting, self-entertain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ion and purpose of works. Especially in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poetry and painting, it is a vital factor. In terms of research method, this paper firstly analyzes how the concept of self-entertainment in Chinese poetry and painting changes and develops through works. Then, the influence and function on self-entertainment are introduced. In ancient Chinese art, these two fields are closely related and mutually developed. This closeness not only provides the impetus for their rapid development,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for literati painting creation. The center of literati painting in Yuan Dynasty of China was deeply integrated with the concept of self-entertainment. The dictionary meaning of it is to amuse oneself. The literati realized self-entertainment through the literati painting. In other words, the literati also carried out creative activities while fully displaying their self-satisfaction and self-needs. Self-entertainment has broken away from the previous concepts of poetry and painting, which were responsible for “moralizing people” and “harmonizing human relation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creators to focus on themselves. Therefore, it has become the main function and purpose of literati painting. In this respect, it has emerged as an independent research object, which can be reflected as the core element to measure the status of Chinese poetry and painting. As a result, it is a desire for self-satisfac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creator, a representation of artistic fun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ism, and a reception of spiritual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bserver. Thus, through this study, self-entertainment can become the focus of extensive appreciation of Chinese poetry and painting.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4.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