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브루타 학습법이 방사선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의 적용이 방사선과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3년 5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전라남도 1개 대학교 방사선과 2학년을 대상으로 방사선기기학을 수강하는 38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을 사용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측정변수에 대한 사전값과 사후값은 기술통계, 하브루타 학습법의 전과 후의 차...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7; no. 6; pp. 1009 - 101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사선학회
30.11.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의 적용이 방사선과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3년 5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전라남도 1개 대학교 방사선과 2학년을 대상으로 방사선기기학을 수강하는 38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을 사용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측정변수에 대한 사전값과 사후값은 기술통계, 하브루타 학습법의 전과 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 학습법은 학업적 자기효능감(t=-2.70, p<.001), 학업성취도(t=-2.87, p=.006), 의사소통능력(t=-2.76, p=.00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하브루타 학습법은 방사선과 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학습법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하브루타 학습법의 확대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experimental study that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s of apply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of radiology college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June 23, 2023, and applied the Havruta learning method for 6 weeks to 38 second-year radiologists taking a radiology technology course at a university in Jeollanam-do. SPSS/WIN 21.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pre-test values and post-test values for measurement variables were verifi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as verified with paired t-test.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mproves academic self-efficacy (t=-2.70, p<.001), academic achievement (t=-2.87, p=.006), and communication skills (t=-2.76, p=.008).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Havruta learning method was confirmed a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that improves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of radiology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expanded application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ill be necessary.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335343259254 |
ISSN: | 197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