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프로후록싸신 -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구균에 의한가토 각막염 모델에서 점안 항생제의 항균효과 비교

저자들은 세균성 각막염 환자로부터 검출된 씨프로후록싸신과 메티실린에 내성을 보이는 황색 포도구균에 대해 실험실적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고 본 균주에 의한 가토 각막염 모델을 이용하여 4가지 점안 항생제의 항균 효과를 평가하였다. 씨프로후록싸신-메티실린 저항성 포도구균 100CFUs/10㎕를 백색 가토의 각막 실질내로 주사하여 각막염을 유발시켰다.30마리의 가토 3 0안을 무작위로 5군으로 분류한 후, 0.3% 씨프로후록싸신, 0.3% 트로바후록싸신, 5% 반코마이신, 5%세파졸린, 그리고 멸균 증류수를 15분 간격으로 6시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1; no. 4; pp. 807 - 814
Main Authors 김익수, Ik Soo Kim, 신은미, Yeun Mi Shin, 김수진, Soo Jin Kim, 차홍원, Hung Won Tchah, 한영호, Young Ho Hahn, 한태원, Tae Won Hah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4.200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저자들은 세균성 각막염 환자로부터 검출된 씨프로후록싸신과 메티실린에 내성을 보이는 황색 포도구균에 대해 실험실적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고 본 균주에 의한 가토 각막염 모델을 이용하여 4가지 점안 항생제의 항균 효과를 평가하였다. 씨프로후록싸신-메티실린 저항성 포도구균 100CFUs/10㎕를 백색 가토의 각막 실질내로 주사하여 각막염을 유발시켰다.30마리의 가토 3 0안을 무작위로 5군으로 분류한 후, 0.3% 씨프로후록싸신, 0.3% 트로바후록싸신, 5% 반코마이신, 5%세파졸린, 그리고 멸균 증류수를 15분 간격으로 6시간 동안 각각 25방울(750㎕)을 점안하였다. 마지막 점안제 투여 1시간 후에 마취제를 이용하여 가토를 도살하고 각막을 절제하여 조직분쇄기로 갈아 희석후 혈액배지에 분주하였다. 배양 4 8시간에 각각의 각막내 세균의 수를 colony forming unit 단위로 측정하였다. 각막 절제전 전방수를 추출하여 약물 농도를 측정하였다. 반코마이신 점안군(n=6)에서 세균 군락 수(lo g10값, 평균±표준오차)는 4.8 5±0.64, 씨프로후록싸신 점안군은 6 .16±0.46, 트로바후록싸신 점안군은 6.58±0.29, 세파졸린 점안군은 6.25±0.25이었고, 대조군인 멸균 증류수 점안군은 6.57±0.33로 나타나 반코마이신 점안군만이 다른 점안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그러나 4가지 항생제 모두 6시간의 단기 치료로는 각막내 세균을 완전히 멸균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씨프로후록싸신-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구균에 의한 각막염의 치료에 있어 임상적으로 상용되는 항생제 및 종류가 서로 다른 후루오로퀴놀론 제재의 사용은 무의미하고 반코마 이신의 투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한안지 41:807~814, 2000). To compare the antimicrobial efficacy of several antibiotics in the treatment of ciprofloxacin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CRSA)keratitis, we established a rabbit keratitis model by using MCRSA isolated from keratitis patient. A strain of MCRSA, approroximately 100 colony forming units in 10㎕of phosphate buffered saline was injected intrastromally into the each cornea of New Zealand white rabbits. 30 rabbtits(30 eyes)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and treated with either 0.3% ciprofloxacin, 0.3% trovafloxacin, 5% vancomycin, 5% cefazolin, or sterile deionized water. Topical antibiotics were administered every 15 min for 6 hours(750 ㎕). Rabbits were sacrified 1hour after the last eyedrop, and excised corneas were homogenized, diluted, and plated on BAP medium. Bacterial colonyforming units per cornea were quantified after 48-hour incubation. Aqueous humor were collected from each eye and drug concentration was counted with HPLC. The log1 0 value of colony forming units(CFUs)of vancomycin treated group was 4.85±0.64; ciprofloxacin, 6.16 ±0.46; trovafloxacin, 6.58 ±0.29; cefazolin, 6.25±0.25;and sterile deionized water, 6.57 ±0.33. In view of mean CFU, vancomycin showed great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However, all of these treatment did not completely sterilize any corneas with 6-hour treatment. From these results, only topical vancomycin(5%) represented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y with short-term treatment in rabbit keratitis with MCRSA(J Korean Ophthalmol Soc 41:807~814, 2000).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