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학)과 분야에서 챗봇을 이용한 학습방법의 유용성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과 재학생의 주요 학습 도구의 활용성을 조사하고, 방사선사면허 국가시험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프로그램인 챗봇의 정답률을 분석하여 방사선학 분야에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프로그램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 연구에 목적이 있다. 방사선(학)과 재학생의 학습 시 전자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응답자가 84.3%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시 자료수집의 효율성을 묻는 질문에 140명 중 검색엔진을 1순위로 활용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104명이었다. 챗봇을 알고 있는지 붇는 질문에 80%가 알고있다고 답하였으며, 학업...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7; no. 3; pp. 411 - 416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사선학회
30.06.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0620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과 재학생의 주요 학습 도구의 활용성을 조사하고, 방사선사면허 국가시험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프로그램인 챗봇의 정답률을 분석하여 방사선학 분야에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프로그램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 연구에 목적이 있다. 방사선(학)과 재학생의 학습 시 전자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응답자가 84.3%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시 자료수집의 효율성을 묻는 질문에 140명 중 검색엔진을 1순위로 활용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104명이었다. 챗봇을 알고 있는지 붇는 질문에 80%가 알고있다고 답하였으며, 학업 목적으로 챗봇을 사용한 경험은 22.9%가 1회 이상 사용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2018년도부터 2022년도까지 시험문제 중 1교시와 2교시의 문제를 챗봇에게 정답을 물어보았다. 그 결과 ChatGPT의 1교시 정답률은 48.28%에서 60%였으며, 2교시 문제의 정답률은 50%에서 62.22%로 나타났다. Bing의 1교시 정답률은 55%에서 64.55%였으며, 2교시 문제의 정답률은 48%에서 52.22%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학)과 재학생들이 전자기기를 통해 학습하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찾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방사선학 분야에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프로그램은 정확성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있으며, 완벽한 해답을 제공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계속해서 발전하고 개선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major learning tools among radiology science students and assess the accuracy of a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program, specifically a chatbot,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radiologic technologist licensing exam. The survey revealed that 84.3% of radiology science students actively utilize electronic devices during their learning process. In addition, 104 out of 140 respondents said they use search engines as a top priority for efficient data collection while studying. When asked about their awareness of chatbots, 80% of participants responded affirmatively, and 22.9% reported having used chatbots for academic purposes at least once. From 2018 to 2022, exam questions from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were presented to the chatbot for answers. The results showed that ChatGPT's accuracy in answering first period questions increased from 48.28% to 60%, while for second period questions, it increased from 50% to 62.22%. Bing's accuracy in answering first period questions improved from 55% to 64.55%, and for second period questions, it increased from 48% to 52.22%. The study confirmed the general trend of radiology science students utilizing electronic devices for learning and obtain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programs in the field of radiation science face challenges related to accuracy and reliability, and providing perfect solutions remains difficult, highlighting the need for continuou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320961581822 |
ISSN: | 197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