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수정체 광학부보다 큰 순정체낭원형절개술을 이용한 백내장수술의 단기간 임상 결과

백내장수술에서 인공수정체의 광학부보다 크기가 큰 수정체낭원형절개술이 시력과 굴절력의 변화와 수술후 합병증에 대해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백내장수술은 55명의 환자에서 5.75mm길이의 이측 각막절개술과 수정체낭원형절개술(CCC), 그리고 낭내수정체 유화술, 광학부가5.5mm이고 총길이가 12.5mm인 PMMA 후방인공수정체를 낭내에 삽입하고, #10-0 nylon으로구두끈 모양의 봉합을 실시하였다. 이때 수정체낭원형절개부위의 지름은 약 6.5mm였고 인공수정체의 광학부보다 크기를 크게 하였다. 20/40이상의 나안시력은 술후 1병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39; no. 7; pp. 1433 - 1438
Main Authors 전호민, Ho Min Jeon, 주천기, Choun Ku J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7.199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백내장수술에서 인공수정체의 광학부보다 크기가 큰 수정체낭원형절개술이 시력과 굴절력의 변화와 수술후 합병증에 대해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백내장수술은 55명의 환자에서 5.75mm길이의 이측 각막절개술과 수정체낭원형절개술(CCC), 그리고 낭내수정체 유화술, 광학부가5.5mm이고 총길이가 12.5mm인 PMMA 후방인공수정체를 낭내에 삽입하고, #10-0 nylon으로구두끈 모양의 봉합을 실시하였다. 이때 수정체낭원형절개부위의 지름은 약 6.5mm였고 인공수정체의 광학부보다 크기를 크게 하였다. 20/40이상의 나안시력은 술후 1병일에 55명중 44명(80%)이었고, 술후 1병일과 1주일사 이, 1주일과 2개월사이와 2개월과 4개월사이에 구면렌즈대응치의 변화량은 각각 -0.22±0.59(평균±표준편차)디옵터, +0.07±0.37(평균±표준편차)디옵터와 -0.01±0.13(평균±표준편차) 디옵터로 인공수정체가 전방으로 편위되는 모습은 관찰되지 않았다(p<0.05). 그리고술후 4개월까지 시각장애를 일으킬 정도의 수술후 합병증, 후낭의 혼탁과 원형절개면의 수축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인공수정체의 광학부보다 큰 수정체낭원형절개술을 이용한 백내장수술은 망막 및 초자체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과관찰과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실시할 수 있는 안전하고 유망한 수술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한안지 39:1433~1438, 1998). We evaluated prospectively the effect of capsular opening larger than the optic diameter of intraocular lens(IOL) on visual outcome, change of refrectory power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in cataract surgery. Cataract surgery was performed to 55 patients using 5.75mm temporal corneal incision,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hexis(CCC), phacoemulsification, implantation of polymethylmethacrylate(PMMA) posterior chamber IOL with 5.5mm of optic and 12.5mm of total length into the capsular bag, and one shoelace suture. The size of CC was 6.5mm in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IOL optics. Uncorrected visual acuity 20/40 or better was obtained in 80% of eyes one day after operation. The change of sperical equivalent from postoperative one day to one week, one week to two months and two months to four months was -0.22±0.59(average± S.D.) diopters, +0.07±0.37 diopters and -0.01±0.13 diopters in average respectively. There was no decentration or tilt of IOL, posterior capsular opacity, and contraction of capsular opening smaller than 5mm inducing visual disturbance at postoperative 4 months. In conclusion, the technique of using CCC larger than the IOL optic can be a safe and useful in patients with posterior segment disease(J Korean Ophthalmol Soc 39:1433~1438, 1998).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