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활용 열에너지의 집단에너지 주민 수용성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미활용 열에너지를 집단에너지 열원으로 활용할 경우 주민 수용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열 부문 탄소중립에 있어 중요한 수단인 미활용 열에너지는 원활한 보급을 위해 주민 수용성의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난방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미활용 열에너지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컨조인트 모형을 이용해 소각열과 수열, 데이터센터 폐열을 기존의 가스 열원과 지불의사액을 평가해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제시된 미활용 열에너지의 보급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면서도 미활용 소각열에 비해서 수열과 데...
Saved in:
Published in | 자원·환경경제연구 Vol. 32; no. 3; pp. 191 - 215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30.09.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914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미활용 열에너지를 집단에너지 열원으로 활용할 경우 주민 수용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열 부문 탄소중립에 있어 중요한 수단인 미활용 열에너지는 원활한 보급을 위해 주민 수용성의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난방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미활용 열에너지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컨조인트 모형을 이용해 소각열과 수열, 데이터센터 폐열을 기존의 가스 열원과 지불의사액을 평가해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제시된 미활용 열에너지의 보급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면서도 미활용 소각열에 비해서 수열과 데이터센터 폐열에 선호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evaluating and comparing residents’ acceptance of unutilized heat such as hydrothermal energy and waste heat from waste incineration and data centers in the case that they are used as district heat sources. This is because securing residents’ acceptance is significantly important in order for unutilized heat to be considered as a heat source of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to achieve neutrality in the heating and cooling sector. A survey of heating consumers’ perception on unutilized heat energy is conducted and a conjoint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willingness to pay of heating consumers on incineration heat, water heat, and data center waste heat and to compare them with existing gas heat sour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district heating using hydrothermal energy and data center waste heat is preferred to district heating from heat from a natural gas plant or waste incineration. |
---|---|
Bibliography: | The Korea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KISTI1.1003/JNL.JAKO202328447288031 |
ISSN: | 1229-91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