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웹 접근성 평가 연구동향 분석

본 연구는 국내 웹 접근성 평가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부족한 점과 웹 접근성 평가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2000년 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약 17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총 59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들은 웹 접근성에 대한 평가자, 평가 대상, 평가 방법, 평가 결과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자 측면은 ‘단독 평가(66%)’가, 평가 대상은 ‘웹 사이트(83%)’가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평가 방법은 자동평...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정보처리학회 논문지 (KTSDE) Vol. 7; no. 1; pp. 33 - 42
Main Authors 김미정, Mijeong Kim, 김자미, Jame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처리학회 31.01.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59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국내 웹 접근성 평가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부족한 점과 웹 접근성 평가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2000년 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약 17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총 59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들은 웹 접근성에 대한 평가자, 평가 대상, 평가 방법, 평가 결과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자 측면은 ‘단독 평가(66%)’가, 평가 대상은 ‘웹 사이트(83%)’가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평가 방법은 자동평가, 자동과 수동 병행이 유사한 비율이었다. 마지막으로 웹 접근성 문제없음을 나타낸 논문은 단 2편이었다. 본 연구는 평가 동향을 분석한 메타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한국의 웹 접근성 연구 및 웹 접근성 평가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hortcomings and the direction of the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studies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n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in Korea. For this aim, a total of 59 theses presented in the registered academic journal and the candidate of registration academic journals from January 2000 to March 2017 were selected. The selected dissertation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e evaluators, the evaluation targets, the evaluation methods, and the evaluation results with regard to web accessibi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st rate in the evaluator aspect was ‘independent evaluation (66 percent)’ and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evaluation target aspect was ‘web site (83 percent)’. When it came to the evaluation methods, automatic evaluation and the mixture of automatic evaluation and manual evaluation had a similar percentage. Lastly, only two papers showed that web accessibility did not have any proble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suggested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web accessibility studies in Korea and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studies in the situation when the meta studies which analyzed research trends are insufficient.
Bibliography: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KISTI1.1003/JNL.JAKO201808962642741
ISSN:2287-5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