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CT에서 최적의 플러싱횟수를 위한 잔류방사능과의 상관분석

PET/CT에서 18 F-FDG의 주사용량은 SUV(Standard Uptake Value)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판독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18 F-FDG의 dose 값을 주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8 F-FDG 주사 시 플러싱 횟수에 따른 주사기와 혈관삽입기구의 잔류방사능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장비는 CRC-25R 검량계, 3WAY line과 needle, 3 cc 주사기 및 50 cc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고 결과값을 SPSS 21 Statics로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7; no. 5; pp. 701 - 707
Main Authors 최우영, Woo-yeong Choi, 지영식, Yeong-sik Jee, 윤창용, Chang-yong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사선학회 30.10.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0620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PET/CT에서 18 F-FDG의 주사용량은 SUV(Standard Uptake Value)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판독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18 F-FDG의 dose 값을 주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8 F-FDG 주사 시 플러싱 횟수에 따른 주사기와 혈관삽입기구의 잔류방사능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장비는 CRC-25R 검량계, 3WAY line과 needle, 3 cc 주사기 및 50 cc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고 결과값을 SPSS 21 Statics로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사기와 혈관삽입기구의 총 잔류 방사능은 2회 플러싱 시 5.84 % 로 가장 높았고 5회 플러싱 시 1.49 % 로 가장 낮게 잔류하였다. 상관관계분석결과, 플러싱 횟수는 주사기의 잔류방사능과 -0.436, 혈관삽입기구와 - 0.300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플러싱횟수에 따른 주사기, 혈관확보기구의 잔류 방사능 평균값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 ANOVA)를 실시한 결과, 주사기의 잔류방사능은 4회부터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고, 혈관확보기구의 잔류방사능은 5회부터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혈관확보기구의 평균 잔류방사능이 총 잔류방사능의 0.8 %라는 점을 고려할 때, 4회의 플러싱횟수가 가장 합리적으로 보인다. In PET/CT, the injection volume of 18F-FDG directly affects the SUV(standard uptake value), which can affect the reading resul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ject the correct dose value of 18F-FDG.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ual radioactivity remaining in the syringe and catheter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flushing during 18F-FDG injection. CRC-25R dose calibrator, catheter insertion devices, 3 cc syringes and 50 cc physiological saline were us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s a result, the total residual radioactivity of the syringe and catheter insertion device remained the highest at 5.84% after two flushing, and the least remained at 1.49% after five flushing.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flushing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sidual radioactivity of the syringe at -0.436 and the catheter insertion device at -0.300. As a result of one-way distributed analysis of the aver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flushing, the syring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t 4 times, and the catheter insertion devic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t 5 times. However, considering that an average of 0.8% remains in the case of catheter insertion devices, four time flushing seems to be the most appropriate.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331843267351
ISSN:1976-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