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 알킬암모늄화합물계 목재방부제(ACQ)를 처리한 목재 중의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DDAC) 성분의 발색처리 방법 개발

ACQ 처리 목재에서 약제의 침투깊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Cu 성분만을 대상으로 침윤도를 측정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Cu 이외에 ACQ의 유효성분 중에 하나인 DDAC의 침투깊이를 조사할 수 있는 DDAC 발색 처리 방법을 개발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DAC 성분은 2′,7′-dichlorofluorescein 발색 지시약과 반응하여 진한 주황색으로 발색한다. 이와 같은 발색 반응은 DDAC 용액에서 뿐만 아니라 ACQ 처리 목재에서도 진행되어 DDAC가 침투되어 있는 목재 조직에서는 동일하게 주황색으로 발색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목재공학 Vol. 46; no. 3; pp. 253 - 259
Main Authors 이종신, Jong Shin Lee, 최광식, Gwang Sik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목재공학회 30.05.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ACQ 처리 목재에서 약제의 침투깊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Cu 성분만을 대상으로 침윤도를 측정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Cu 이외에 ACQ의 유효성분 중에 하나인 DDAC의 침투깊이를 조사할 수 있는 DDAC 발색 처리 방법을 개발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DAC 성분은 2′,7′-dichlorofluorescein 발색 지시약과 반응하여 진한 주황색으로 발색한다. 이와 같은 발색 반응은 DDAC 용액에서 뿐만 아니라 ACQ 처리 목재에서도 진행되어 DDAC가 침투되어 있는 목재 조직에서는 동일하게 주황색으로 발색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DDAC 발색기술에 의하여 방부제 난주입성 수종인 가문비나무에서 Cu에 비하여 DDAC의 목재 침투성이 우수한 사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른 난주입성 수종에 대해서도 Cu와 DDAC의 침투성 차이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To determine the depth of preservative penetration in ACQ treated wood, the degree of penetration of Cu was measur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DAC coloring method to investigate the penetration depth of DDAC, which is one of the active ingredient of ACQ, into woo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DDAC component reacts with a 2′, 7′-dichlorofluorescein indicator and results in a deep orange color. This orange coloring reaction appears not only in DDAC solutions but also in ACQ treated wood tissues in which DDAC is present. It is possible to visually verify that DDAC has better wood penetration than Cu in the spruce, which is an refractory wood species, by the DDAC coloring method developed this study. In addition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netration of Cu and DDAC for other wood species with poor preservative penetration.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 Technology
KISTI1.1003/JNL.JAKO201815565837320
ISSN:1017-0715
DOI:10.5658/WOOD.2018.46.3.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