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 구조물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이 방사선학과 학생들에 미치는 교육 효과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영상학 수업에서 3D 프린팅 해부학 구조물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이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4년제 대학교의 방사선학과 2학년의 32명(남자: 20명, 여자: 12명)으로 방사선영상학 교과목을 수강한 재학생들로서 소극적인 학생 그룹과 적극적인 학생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학습방법은 3D 프린팅 해부학적 구조물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으로 진행했으며 학습 전 후로 정량적 학습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학생들의 정성적인 평가를 위해 수업의 흥미도, 만족도 그리고 학습효과(해부학 명칭 암기 용이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4; no. 1; pp. 45 - 51
Main Authors 성열훈, Youl-hun Se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사선학회 28.0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062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영상학 수업에서 3D 프린팅 해부학 구조물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이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4년제 대학교의 방사선학과 2학년의 32명(남자: 20명, 여자: 12명)으로 방사선영상학 교과목을 수강한 재학생들로서 소극적인 학생 그룹과 적극적인 학생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학습방법은 3D 프린팅 해부학적 구조물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으로 진행했으며 학습 전 후로 정량적 학습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학생들의 정성적인 평가를 위해 수업의 흥미도, 만족도 그리고 학습효과(해부학 명칭 암기 용이성, X선 영상 해독력, 해부학 구조물 이해도, X선 촬영법 이해도)에 대해서 5점 리커트 5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개선효과는 평균 65.4%가 향상되었으며 모든 학생들이 모든 변수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특히, 흥미도와 X선 영상 해독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소극적 학생그룹이 적극적인 학생그룹보다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3D 프린팅 해부학 구조물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이 방사선학과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using 3D printed anatomy on radiological science students. The subjects were 32 students (20 males and 12 females) in the second year of radiological science at university. They were divided two groups as a non-active student group and an active student group. A learning method was self-directed learning using 3D printed anatomical structures, and the effects of quantitative learning improvement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learning.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students was analyzed on the Likert’s 5-point scale for the interest, satisfaction, and learning effects (memorization convenience of anatomy name, radiography Interpret ability, understanding on bones structure, and X-ray projection technique). As a result, the enhancement of learning improved 65.4% on average, and all students got scored high on all variables. Especially non-active student groups showed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s in all variables except interest and radiography interpret than active student groups.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self-directed learning using 3D printed anatomical structures could have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on radiological science students.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007862563270
ISSN:1976-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