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랑인 및 정신질환자 수용시설인 희망원에서의 당뇨병 유병률과 위험인자 분석

목적 : 사회 경제적 여건이 열악한 부랑인 및 정신질환자 보호시설인 희망원에서의 당뇨병 유병률을 알아보고 위험인자를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대구 시립 희망원에 수용된 20세 이상 원생 1,425명 (남자 905명, 여자 520명)을 대상으로 전날 저녁부터 공복상태에서 지낸 후 정맥혈을 채취하여 혈장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원생들의 과거병력, 사회력에 대한 문진 및 신체 계측을 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 미국 당뇨병 학회에서 제시한 새로운 공복혈당 기준을 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62; no. 6; pp. 633 - 641
Main Authors 이지현, Ji Hyun Lee, 손호상, Ho Sang Son, 양전호, Jeon Ho Yang, 윤현대, Hyun Dae Yoon, 정성창, Sung Chang Chung, 유성수, Sung Soo Yo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06.200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936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사회 경제적 여건이 열악한 부랑인 및 정신질환자 보호시설인 희망원에서의 당뇨병 유병률을 알아보고 위험인자를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대구 시립 희망원에 수용된 20세 이상 원생 1,425명 (남자 905명, 여자 520명)을 대상으로 전날 저녁부터 공복상태에서 지낸 후 정맥혈을 채취하여 혈장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원생들의 과거병력, 사회력에 대한 문진 및 신체 계측을 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 미국 당뇨병 학회에서 제시한 새로운 공복혈당 기준을 이용한 당뇨병의 유병률은 13.5% (남=10.1%, 여=19.4%)였으며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은 11.3% (남=8.7%, 여=15.8%)였다. 당뇨병과 관련된 위험인자로는 나이, 성별, 혈청 중성 지방 농도, 수축기 혈압이 분석되었다. 결론 : 희망원생들의 당뇨병 유병률은 최근 보고된 연천지역이나 정읍지역 역학 연구 결과들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당뇨병 위험인자는 지역 사회 역학 연구 결과들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Background : Recently,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is rapidly increasing. It is known that this increase is related with the change of environmental factors. We performed study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diabetes and to investigate their risk factors in Hope Village taking in low socio-economic people. Methods : Total 1,425 subjects (905 men and 520 women) aged over 20 years in Daegu city Hope Village were venipunctured after overnight fasting to measure plasma glucose level and interviewed about their past medical and social history. We also collected standard anthropometric data. Al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9.0 program. Results : The prevalence of diabetes by using the revised new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riteria was 13.5% (male=10.1%, female=19.4%) and the prevalence of impaired fasting glucose was 11.3% (male=8.7%, female=15.8%). It was observ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diabetes were age, sex, serum triglyceride level, systolic blood pressure.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diabetes in Hope Village was relative higher than that of the previous suggested population based studies in Yonchon County and Jungup District. But the risk factors of newly diagnosed diabetes were similar with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Korean J Med 62:633-641, 2002)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ISSN:1738-9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