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2023년 국내에서 분리한 Erwinia amylovora의 스트렙토마이신에 대한 감수성 변화

Erwinia amylovora, a causal pathogen of fire blight, has been continuously inducing damage to the apple and pear trees in South Korea since 2015. Farmers apply antibiotics during blooming season to prevent the fire blight. However, continuous use of antibiotics can induce the emergence of resistan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igmulbyeong yeon'gu Vol. 30; no. 2; pp. 199 - 205
Main Authors 함현희(Hyeonheui Ham), 오가람(Ga-Ram Oh), 이방울(Bang Wool Lee), 이용환(Yong Hwan Lee), 이용훈(Yong Hoo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물병리학회 01.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262
2233-9191
DOI10.5423/RPD.2024.30.2.199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Erwinia amylovora, a causal pathogen of fire blight, has been continuously inducing damage to the apple and pear trees in South Korea since 2015. Farmers apply antibiotics during blooming season to prevent the fire blight. However, continuous use of antibiotics can induce the emergence of resistant bacteria, which consequently reduces control efficacy.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treptomycin, using a total of 361 E. amylovora isolate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six provinces of South Korea from 2019 to 2023. As a result, the MIC of streptomycin ranged from 0.5 to 4 ㎍/ml and the strA-strB genes were not identified from the isolates. The MIC was higher in the isolates from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compared to those from other three provinces. These results may bring broad attention to the use of streptomycin and aid in developing a management protocol for the occurrence of fire blight in South Korea. Erwinia amylovora는화상병의원인균으로국내에서는 2015년 이후 사과와 배 나무에 큰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농가에서는 화상병 예방을 위해 개화기에 항생제를 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항생제의 지속적인 사용은 저항성균의 출현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방제 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2023년 동안 국내에서 분리한 E. amylovora 361균주를 대상으로 스트렙토마이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분리한 연구 대상 균주들에 대한 스트렙토마이신의 최소억제농도는 0.5–4 µg/ml였고 균주에서 스트렙토마이신에 약한 저항성을 유도하는 strA-strB 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경기도, 강원도 및 충청북도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스트렙토마이신의 최소억제농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트렙토마이신의 사용에 대한 주의를 유도하고 방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21956023157
ISSN:1598-2262
2233-9191
DOI:10.5423/RPD.2024.30.2.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