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 제품에서 분리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포, 병원성 특성 및 항균제 내성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serotypes, virulence gen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collected from salmon products. A total of 16 out of 65 salmon products (24.6%) were positive for L. monocytogenes. Bacteria were most frequently identified in...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3; no. 4; pp. 495 - 500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과학회
01.08.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serotypes, virulence gen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collected from salmon products. A total of 16 out of 65 salmon products (24.6%) were positive for L. monocytogenes. Bacteria were most frequently identified in smoked salmon products (15/53, 28.3%). Serological tests revealed that serotype 1/2b (62.5%) was the predominant serotype of L. monocytogenes, followed by 1/2a (37.5%). All isolates harbored 10 virulence-associated genes (inlA, inlB, plcA, plcB, hlyA, actA, prf, fbpA, iap, and mpl), confirming their potential pathogenicity. The isolates of L. monocytogenes showed resistance to cefotetan (100%), cefotaxime (87.5%), cefepime (31.3%), erythromycin (6.3%), and tetracycline (6.3%); however, most of th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antimicrobials except cephalosporins.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tamination of salmon products with L. monocytogenes, which may have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본 연구는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서울시내 대형마트에서 수거한 연어 제품 65건에 대해서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를 분리하고, 분리한 균주에 대해서 혈청형, 병원성 관련 유전자 유무 및 항균제 내성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어 제품 65건 중에서 훈제연어 제품 53건 중 15건(28.3%), 기타 연어 제품 12건 중 1건(8.3%)에서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가 분리되었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16균주의 혈청형을 분석한 결과 1/2a 형이 6균주(37.5%), 1/2b 형이 10균주(62.5%)로 1/2b 형이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어 제품의 보관방법, 제조회사 및 연어의 원산지별 혈청형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냉장보관 제품에서는 1/2a 형이, 냉동제품에는 1/2b 형이 우세하였으며, 동일 제조회사 제품에서 동일한 혈청형이 확인되었고, 연어 원산지별과는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아 연어 제조공정상에서 균의 오염이 주로 이루어짐을 짐작할 수 있었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의 병원성과 관련된 10가지 유전자에 대해 PCR 검사를 수행한 결과 16균주 모두 병원성 관련 유전자가 검출되어 잠재적으로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분리된 16균주에 대하여 15종의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cefotetan 16주(100%), cefotaxime 14주(87.5%), cefepime 5주(31.3%), erythromycin과 tetracycline에 각각 1주(6.3%) 순으로 내성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10종의 항균제에 대해서는 모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는 본질적으로 cefotetan, cefotaxime, cefepime과 같은 cephalosporine 계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을 감안하면 대부분의 항균제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 소비가 점점 늘고 있고, 비가열 섭취가 대부분인 연어 제품에서 소비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24462465969 |
ISSN: | 0367-6293 2383-9635 |
DOI: | 10.9721/KJFST.2021.53.4.4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