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 저장 중 포장방법에 따른 밀의 미생물 생육 및 품질 특성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orage quality of Saegeumgang wheat under plasma storage with different packaging methods. Wheat was stored at 4℃ with ozone concentrations of 350-500 ppb for 8 months using gunny sacks and vacuum packaging. Microbial analysis revealed that gunny sack packaging k...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32(1) Vol. 32; no. 1; pp. 118 - 123
Main Authors 김현주, 오유근, 김경훈, 박진희, 유승민, 김홍식, 이유영, 강문석, Hyun-Joo Kim, You-Geun Oh, Kyeong-Hoon Kim, Jin Hee Park, Seungmin Ryu, Hong Sik Kim, Yu-Young Lee, Moon Seok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3022-5477
3022-5485
DOI10.11002/fsp.2025.32.1.1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orage quality of Saegeumgang wheat under plasma storage with different packaging methods. Wheat was stored at 4℃ with ozone concentrations of 350-500 ppb for 8 months using gunny sacks and vacuum packaging. Microbial analysis revealed that gunny sack packaging kept contamination below detectable levels (<101 CFU/g) for up to 5 months, while vacuum packaging was more effective at suppressing mold. Moisture content increased over time, likely due to high humidity, and fat acidity rose to 34.30 mg KOH/100 g,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ckaging typ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acuum packaging in a plasma storage environment effectively inhibits microbial growth in wheat. Howe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optimize storage conditions to minimize moisture accumulation and lipid oxidation. 국내산 밀의 저장성 확보를 위한 기초기반연구로 플라즈마를 이용해 밀 포장방법에 따른 미생물 생육 변화와 종실 수분 및 지방산가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밀은 '새금강' 품종을 이용하였으며, 마대 및 진공 포장을 하여 저장하였다. 플라즈마 저장조건은 온도 4℃, 오존 농도 350-500 ppb이었다. 대조군은 4℃ 저온저장고에서 저장하였으며 저장기간은 0, 1, 3, 5, 8개월이었다. 미생물 분석 결과 마대포장 처리군은 일반 저온 저장 1개월 이후부터 미생물이 생육한 반면 플라즈마 저장 5개월까지 검출한계 이하(<101 CFU/g)를 유지하였다. 진공포장의 경우 플라즈마 및 일반 저온 저장 모두 3개월 차부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방법에 따른 밀 종실 수분 함량은 11.37%였으며, 플라즈마 및 일반 저온 저장 시 마대 포장 처리군이 진공 포장 처리군보다 수분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저장 중 지방산가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플라즈마 및 일반 저온 저장처리군 모두 지방산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밀을 진공포장 후 플라즈마 저장 시 밀의 미생물 생육 억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종실 수분 함량 및 지방산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저장조건 확립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514939605558
ISSN:3022-5477
3022-5485
DOI:10.11002/fsp.2025.3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