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경험이 없는 중심망막정맥폐쇄안과 나이 및 성별 매칭 정상안의 맥락막혈관지수 비교
목적: 치료 경험이 없는(treatment naïve) 중심망막정맥폐쇄안과 정상안의 맥락막혈관지수(choroidal vascularity index)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1명의 치료 경험이 없는 중심망막정맥폐쇄 환자 21명의 21안과 나이 및 성별을 매칭한 정상 대조군 42명의 42안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맥락막혈관지수는 ImageJ 소프트웨어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치료 경험이 없는 중심망막정맥폐쇄안의 평균 중심오목하 맥락막혈관지수는 0.6464 ± 0.0326, 정상 대조군의 중심오목하 맥락막혈관지수는 0....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4; no. 1; pp. 35 - 4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01.01.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3.64.1.35 |
Cover
Summary: | 목적: 치료 경험이 없는(treatment naïve) 중심망막정맥폐쇄안과 정상안의 맥락막혈관지수(choroidal vascularity index)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1명의 치료 경험이 없는 중심망막정맥폐쇄 환자 21명의 21안과 나이 및 성별을 매칭한 정상 대조군 42명의 42안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맥락막혈관지수는 ImageJ 소프트웨어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치료 경험이 없는 중심망막정맥폐쇄안의 평균 중심오목하 맥락막혈관지수는 0.6464 ± 0.0326, 정상 대조군의 중심오목하 맥락막혈관지수는 0.6209 ± 0.0434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4). 6개월 경과 후, 중심망막정맥폐쇄안의 평균중심오목하 맥락막혈관지수는 0.6311 ± 0.0600이었으며, 정상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38). 중심망막정맥폐쇄안 21안 중 18안(85.7%)은 유리체강내 bevacizumab, ranibizumab, aflibercept 또는 triamcinolone을 주입받았으며, 4안(19.0%)은 범망막레이저광응고술을 시행받았다.
결론: 치료 경험이 없는 중심망막정맥폐쇄안의 평균 중심오목하 맥락막혈관지수는 정상안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6개월 후 감소하여 정상안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리체강내 주사 또는 범망막광응고술 등의 중심망막정맥폐쇄에서의 치료가 맥락막의 혈역학적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compare the subfoveal choroidal vascularity indices (CVIs) of treatment-naïve patients with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CRVO) with controls.
Methods: Twenty-one eyes of 21 treatment-naïve CRVO patients and 42 age- and sex-matched control eyes (of 42 subjects) lacking any retinal disease were included. The subfoveal CVIs were measured using ImageJ software.
Results: The mean subfoveal CVI in eyes with treatment-naïve CRVO at the initial vis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eyes (0.6464 ± 0.0326 vs. 0.6209 ± 0.0434 respectively; p = 0.024).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ubfoveal CVI was found between CRVO eyes 6 months after initial diagnosis and control eyes (0.6311 ± 0.0600 vs. 0.6209 ± 0.0434 respectively; p = 0.238). Of the 21 eyes with CRVO, 18 (85.7%) received intravitreal injections (bevacizumab, ranibizumab, aflibercept, or triamcinolone) and four (19.0%) underwent panretinal photocoagulation.
Conclusions: The subfoveal CVI of eyes with treatment-naïve CRVO at the initial vis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eyes, but decreased by 6 month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CRVO treatments such as intravitreal injection or panretinal photocoagulation affect choroid hemodynamic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3.64.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