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아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의 타당도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일일 총에너지소비량, 에너지필요추정량과 신체활동 평가

Purpose: The purpose of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 for youth (Youth-PACT).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ing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with the total energy expenditure (TEE) and evaluating 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56; no. 1; pp. 35 - 53
Main Authors 곽지연(Ji-Yeon Gwak), 김명희(Myung-Hee Kim), 박종훈(Jonghoon Park), Kazuko Ishikawa-Takata, 김은경(Eun-Ky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영양학회 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3886
2288-3959
DOI10.4163/jnh.2023.56.1.3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Purpose: The purpose of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 for youth (Youth-PACT).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ing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with the total energy expenditure (TEE) and evaluating the physical activity pattern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first part of the study were 17 children aged 10 to 12 years, and their total energy expenditure (TEEDLW) was measured using the double labeled water (DLW) method. A total of 166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6-18 years participated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Their resting energy expenditure (REE) was measured using indirect calorimetry and the TEEYouth-PACT and physical activity level were calculated by applying the Youth-PACT to the physical activity diary prepared by the subjects. Results: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EDLW and the TEEYouth-PACT. The TEEYouth-PACT accurately predicted TEEDLW in 37.5% of the subjects.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he rates at which EER accurately predicted TEE YouthPACT and overestimated TEE Youth-PACT were 29.6% and 47.3%, respectively. The time spent based on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physical activity categories which were obtained using Youth-PACT show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sex and age group. Ag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E, TEE, and the time spent in sedentary behavior, but ag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E/body weight, TEE/body weight, and the time spent in low-intensity and high-intensity activ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Youth-PAC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TEE and PA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the TEEYouth-PACT and to set the EER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소아청소년은 성인과는 다른 신체적, 생리적 특성이 있으므로 동일한 신체활동을 할지라도 에너지소비량이 다름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소아청소년 대상 연구에서 이들의 에너지소비량을 평가 시, 성인 대상으로 측정한 에너지소비량 또는 성인대상 18단계 신체활동분류표가 이용되어왔다. 최근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국의 자료와 국내의 일부 자료를 토대로 4단계 연령대 (6-9세, 10-12세, 13-15세 및 16-18세)에 따라 서로 다른 에너지당량 (METs)을 제시하는 한국 소아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1부에서 에너지소비량 측정방법의 gold standard로 알려져 있는 이중표식수법을 이용하여 소아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의 타당도를 평가한 결과, 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부에서는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안한 방법 (TEE = REE × PAL), 즉 간접열량계로 측정한 REE과 소아청소년 신체활동분류표로 측정한 PAL을 이용하여 166명의 소아청소년 (초·중·고등학생)의 일일 총에너지소비량을 산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제시한 공식을 이용한 EER을 비교한 결과, 과대평가 비율이 47.3%로 나타났다. 또한 소아청소년 신체활동분류표를 이용하여 산출된 신체활동 강도별 및 신체활동 유형별 소비시간이 성별 및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중학생 및 고등학생을 포함하는 다수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이중표식수법을 이용하여 일일 총에너지소비량을 측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소아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의 타당도가 폭넓게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이중표식수법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을 위한 에너지필요추정량 산출 공식의 타당도 평가와 함께 한국의 소아청소년을 위한 에너지필요추정량공식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업부담이 많은 고등학생 뿐만 아니라, 중학생 및 초등학생에서도 강도있는 신체활동의 소비시간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건강 및 비만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이들의 에너지소비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310444090683
ISSN:2288-3886
2288-3959
DOI:10.4163/jnh.2023.56.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