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된 천연유기물질을 이용한 막 오염 특성 평가

As a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Nakdong River consisted of 43% of hydrophobic fraction, 39% of hydrophilic fraction, and 18% of transphilic fraction. The hydrophobic fraction in this raw water was mostly fulvic acid. Fulvic acid comprised of 62% and the rest was humic acid(38%). There was more c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27; no. 12; pp. 1321 - 1326
Main Authors 이병구(Byung Gu Lee), 손희종(Hee Jong Son), 노재순(Jae Soon Roh), 황영도(Young Do Hwang), 정철우(Chul Woo Jung), 강임석(Lim Seok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환경공학회 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025
2383-781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As a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Nakdong River consisted of 43% of hydrophobic fraction, 39% of hydrophilic fraction, and 18% of transphilic fraction. The hydrophobic fraction in this raw water was mostly fulvic acid. Fulvic acid comprised of 62% and the rest was humic acid(38%). There was more carboxylic acid functional roup(64%) than phenolic group(36%). HPI-N and HPI-C comprised of 17% and 22% in the hydrophilic por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membrane fouling test using UF membrane according to NOM fractions. HPI-N caused more fouling than HPI-C. Humic acid caused more fouling than fulvic acid probably due to higher adsorption capacity. Since humic acid has higher adsorption capacity than fulvic acid, it would be more adsorbed onto the membrane pores. The carboxylic acid functional group caused more fouling than the phenolic group. 낙동강 원수의 경우 소수성 물질이 43%, 친수성 물질이 39%, 반친수성 물질이 1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수성 물질을 세분화하여 조사한 결과 fulvic acid는 62%, humic acid는 38%로 나타났으며, 또한, 카르복실기는 64%, 페놀기는 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수성 물질을 세분화하여 조사한 결과 HPI-N이 44%, HPI-C가 56%를 차지하고 있었다. 친수성 유기물질 중 HPI-C에 비하여 HPI-N이 막 오염을 더욱 많이 유발하였으며, 소수성 유기물질에서는 HA가 FA에 비하여 막 오염을 더 많이 유발하였으며, 작용기에 따른 막 오염 현상을 살펴보면 카르복실기의 경우 페놀기에 비하여 투과 flux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공극의 크기가 커질수록 공극 속으로 전달되는 고분자 유기물이 많이 발생하며 이러한 고분자 유기물이 공극을 막아버리는 현상에 의하여 투과 flux 감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극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막의 경우 투과되는 양이 공극이 작은 막 보다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운전초기에 많은 양의 유기물이 막으로 전달되어 막의 표면과 공극에 흡착되어 막의 공극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투과 flux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0509905724078
G704-000098.2005.27.12.001
ISSN:1225-5025
2383-7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