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댄스 운동이 여성노인들의 보행 균형성 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ne dance programme on the balance ability during walking to reveal the exercise intervention for fall prevention. A 12-week line dance programme was applied to 18 elderly females who aged more than 65 years in the community. Balance ability...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3) Vol. 13; no. 3; pp. 109 - 118
Main Author 최윤선(Youn-Sun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3.13.03.109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ne dance programme on the balance ability during walking to reveal the exercise intervention for fall prevention. A 12-week line dance programme was applied to 18 elderly females who aged more than 65 years in the community. Balance ability during walking was evaluated by the range of center of pressure(cop), the velocity of cop, and free torque that calculated on the basis of ground reaction force data. The range and velocity of cop in the anterio-posterior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performing(p<.01, p<.05, respectively), but change in those of cop in the medio-lateral and free torque were not found. It was demonstrates that 12-week line dance programme allows more effective in anterio-posterior stability of walking. It wa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fall prevention exercise should be studied more associate with fall frequency as future study. 이 연구는 여성 노인들에게 적용한 라인 댄스 운동 프로그램이 보행 시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중재 방안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18명을 12주간의 라인댄스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균형성 판단 요인을 산출하기 위해 보행 시 지면반력 자료를 수집해 이를 기반으로 압력중심 변동 폭, 압력 중심 속도, 자유 토크를 이용했다. 연구 결과 라인 댄스 운동 프로그램 후 보행 시 전후 압력 중심의 변화 범위(p<.01)와 압력 중심의 전후 평균 속도(p<.05)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좌우 방향의 압력중심 범위와 속도, 자유 토크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라인댄스 12주 운동 프로그램 적용은 보행 시 노인의 동적 균형성 능력 증진에 일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본 연구와 관련해 실제 낙상 빈도 등과 관련시켜 운동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310837321277
G704-001475.2013.13.3.033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3.13.03.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