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율 요소 분포 추정을 통한 가격 최적화 방안 연구
자동차 보험은 치열한 시장경쟁과 금융당국의 요율 규제로 가격 조정에 합리적인 적용 방식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보험상품이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인한 인구변화와 가격경쟁으로 인한 요율 세분화는 보험료 결정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요율 요소 중 연령에 대한 분포 추정을 통해 가격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래 분포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고객의 연령이동, 신규유입, 고객이탈 3가지 요인에 대한 최적화 방안을 적용함으로써 합리적인 연령 분포를 추정하여 가격 조정 과정에 반영하고자 한다. 기존...
Saved in:
Published in | Ŭngyong tʻonggye yŏnʼgu Vol. 29; no. 5; pp. 987 - 99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통계학회
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자동차 보험은 치열한 시장경쟁과 금융당국의 요율 규제로 가격 조정에 합리적인 적용 방식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보험상품이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인한 인구변화와 가격경쟁으로 인한 요율 세분화는 보험료 결정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요율 요소 중 연령에 대한 분포 추정을 통해 가격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래 분포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고객의 연령이동, 신규유입, 고객이탈 3가지 요인에 대한 최적화 방안을 적용함으로써 합리적인 연령 분포를 추정하여 가격 조정 과정에 반영하고자 한다. 기존 연령 분포를 적용한 보험료와 미래 연령 분포를 추정하여 적용한 보험료를 수지 불균등 원칙에 적용하여 위험도 추정에 대한 적정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험료 인상 또는 인하 문제와는 별개로 인구변화에 대한 적정 분포를 추정함으로써 가입자의 분포 변화로 인한 결손 또는 초과 이득이 발생하지 않는 적정 보험료 추정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Auto insurance is an insurance product that requires the proper application of pricing techniques due to intense market competition and the rate regulations of financial authorities. Especially, population change according to aging and rating faction segmentation mainly affect the pric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s a pricing optimization methodology through the proper estimation of age factors. To properly estimate the future distribution of age factor, age change, renewal and conversion of customers are considered as main effects for the optimization of estimation and application. The properness and effectiveness for the suggested method will be proved by a comparison of results applied (one for current distribution and the other for future distribution) at the off-balance process. This study suggests an appropriate risk estimation methodology based on optimization that uses the proper estimation of future distribution to protect from the over or under estimation of risk. |
---|---|
Bibliography: |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KISTI1.1003/JNL.JAKO201627037745543 G704-000408.2016.29.5.013 |
ISSN: | 1225-066X 2383-5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