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수집정보를 이용한 정보보호 위험도 예측지수 개발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가입자들로부터 수집된 악성코드 감염 정보에 기초하여 악성코드 감염에 대한 위험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수 산출 문제를 다루었다.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악성코드들의 상대적 위험 가중치를 제안하였으며, 이들 가중치를 결합하여 위험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개발된 위험도지수에 대한 시계열 분석 및 통계적 모형 적합을 시도하였으며, 관리도를 통해 정보보호 위험을 예보할 수 있는 지수의 활용성을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information security risk...
Saved in:
Published in | Ŭngyong tʻonggye yŏnʼgu Vol. 29; no. 7; pp. 1173 - 1183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통계학회
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066X 2383-5818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가입자들로부터 수집된 악성코드 감염 정보에 기초하여 악성코드 감염에 대한 위험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수 산출 문제를 다루었다.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악성코드들의 상대적 위험 가중치를 제안하였으며, 이들 가중치를 결합하여 위험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개발된 위험도지수에 대한 시계열 분석 및 통계적 모형 적합을 시도하였으며, 관리도를 통해 정보보호 위험을 예보할 수 있는 지수의 활용성을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information security risk index to diagnose users` malware infection situations (such as computer virus and adware) by gathering data from KT network systems. To develop the information security risk index, we us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ology and estimated the risk weights of malware code types using the judgments of experts. The control chart could be used effectively to forecast the information security risk for the proposed information security risk index data. |
---|---|
Bibliography: |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KISTI1.1003/JNL.JAKO201620861241522 G704-000408.2016.29.7.021 |
ISSN: | 1225-066X 2383-5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