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서 광간섭단층촬영술 수치의 나이에 따른 차이

목적 : 광간섭단층촬영술(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의 망막신경섬유층(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두께와 시신경유두 형태를 측정하여 나이에 따른 차이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피검자는 7세부터 50세에 이르는 정상인 134명으로 남녀 각각 59명, 75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4.0±12.9세였다. 측정은 양안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시신경유두 형태를 광간섭단층촬영기로 시행하였다. 결과 : 시신경유두스캔을 이용하여 측정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6; no. 12; pp. 2037 - 2044
Main Authors 하성우, Sung Woo Ha, 노세현, Sae Heun R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1.12.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광간섭단층촬영술(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의 망막신경섬유층(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두께와 시신경유두 형태를 측정하여 나이에 따른 차이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피검자는 7세부터 50세에 이르는 정상인 134명으로 남녀 각각 59명, 75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4.0±12.9세였다. 측정은 양안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시신경유두 형태를 광간섭단층촬영기로 시행하였다. 결과 : 시신경유두스캔을 이용하여 측정한 유두함몰비의 수평비와 수직비는 각각 0.55와 0.48로 수평비가 수직비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유두함몰면적비와 수평유두함몰비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그 수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신경유두 주위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두께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20세 이하와 21세 이상의 피검자에서 시신경유두 형태분석치의 유두함몰면적비, 수평 및 수직유두함몰비와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위코쪽, 아래귀쪽 및 위귀쪽 영역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광간섭단층촬영술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시신경유두 형태를 나이별로 측정하여 나이에 따라 차이가 난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녹내장의 진행 과정을 조기에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is a new imaging technique that can provide cross-sectional images of the retina.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thickness of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and optic nerve head shape in normal eyes using OCT. Methods: A total of 134 normal Korean volunteers in different age groups (age range, 10-50 yea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Fifty-nine males and 75 females were enrolled.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24.0±12.91 years. Results: At optic disc sca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D ratios were 0.55 and 0.48, respectively,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creasing age was identified in the C/D area ratio and horizontal C/D ratio. According to the RNFL scan, the inferior and superior areas were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e nasal and superior areas. These areas were thinner with age. In addition, RNFL thickness in the superonasal, inferotemporal and superotemporal areas differed between subjects under 20 years old and those over 21 years old. Conclusions: We determined that RNFL thickness and optic nerve head shape in normal Koreans had age-related differences. These results could provide correctness with OCT scan in glaucoma patients.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5.46.12.014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