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혈관 녹내장에서 경공막 다이오드레이저 모양체광응고술과 아메드 녹내장밸브 삽입술의 비교
목적 : 신생혈관 녹내장 치료에서 경공막 다이오드레이저 모양체광응고술과 Ahmed 녹내장밸브 삽입술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대상과 방법 : 2000년 3월부터 2002년 9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신생혈관 녹내장으로 시술 후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중 안전수동 이하의 시력으로 고안압 및 안구통 조절 목적으로 경공막 다이오드레이저 모양체광응고술을 시행받은 20명 20안(1군)과 Ahmed 녹내장밸브 삽입술을 시행받은 18명 20안(2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안압하강 효과는 술 후 1개월 까지는 2군이 높았으며,...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6; no. 7; pp. 1151 - 1157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1.07.200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 신생혈관 녹내장 치료에서 경공막 다이오드레이저 모양체광응고술과 Ahmed 녹내장밸브 삽입술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대상과 방법 : 2000년 3월부터 2002년 9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신생혈관 녹내장으로 시술 후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중 안전수동 이하의 시력으로 고안압 및 안구통 조절 목적으로 경공막 다이오드레이저 모양체광응고술을 시행받은 20명 20안(1군)과 Ahmed 녹내장밸브 삽입술을 시행받은 18명 20안(2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안압하강 효과는 술 후 1개월 까지는 2군이 높았으며, 성공률도 2군에서 높았다. 1군에서 합병증은 전방출혈과 홍채모양체염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나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고, 심각한 합병증으로 4안에서 안구로가 발생하였으며, 이중 3안에서 안구적출술이 시행되었다. 2군에서는 얕은 전방이 가장 많았으며,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환자가 느끼는 자각적 통증 정도는 2군에서 적었다.
결론 : 신생혈관 녹내장 환자에서 고안압 및 안구통 조절목적으로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Ahmed 녹내장밸브 삽입술이 성공률이 높고 심각한 합병증도 없었으나, 환자의 전신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경공막 다이오드레이저 모양체광응고술도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study the clinical outcomes of diode laser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and Ahmed glaucoma valve implant in eyes with neovascular glaucoma.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diode laser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group 1) and Ahmed glaucoma valve implant (group 2) with a follow-up period of 6 months or longer. The treatments were carried out to control high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ocular pain in the patients with visual acuity less than hand motions.
Results: Group 2 had a significantly lower IOP during the first postoperative month. The cumulative probability of success was higher in group 2 than group 1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most cases were transient and improved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in both groups. However, 3 cases in group 1 required evisceration secondary to phthisis. Subjective relief of ocular pain was higher in group 2.
Conclusions: The Ahmed glaucoma valve implant group showed a higher success rate and fewer serious complications than the diode laser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group in patients with high IOP and ocular pain with poor visual acuity. Diode laser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may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poor general health.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5.46.7.022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