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포진 각막염의 조기 진단에서 중합효소 연쇄 반응 검사의 성적

임상적으로 단순포진 각막염으로 진단되거나 감별해야 할 각막병변을 보이는 환자에서 단순포진 각막염의 조기 진단에 사용되는 DNA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순포진 각막염으로 임상 진단된 25명(25안)과 단순포진 각막염과 감별되어야 할 각막염이 의심되는 22명(22안)에서 각막찰과물(21안)이나Schirmer 검사로 눈물(32안)을 채취하여 DNA polymerase primer를 이용한 PCR을 시행하였다.단순포진 각막염으로 진단된 환자 중 눈물에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2; no. 1; pp. 36 - 42
Main Authors 김재찬, Jae Chan Kim, 한태원, Tae Won Hahn, 허재용, Jae Yong Heo, 김수진, Su J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01.01.200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임상적으로 단순포진 각막염으로 진단되거나 감별해야 할 각막병변을 보이는 환자에서 단순포진 각막염의 조기 진단에 사용되는 DNA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순포진 각막염으로 임상 진단된 25명(25안)과 단순포진 각막염과 감별되어야 할 각막염이 의심되는 22명(22안)에서 각막찰과물(21안)이나Schirmer 검사로 눈물(32안)을 채취하여 DNA polymerase primer를 이용한 PCR을 시행하였다.단순포진 각막염으로 진단된 환자 중 눈물에서는 19%, 각막찰과물에서는 67 %의 PCR 양성율을 보였고 다른 각막염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눈물에서 0%, 각막찰과물에서 40%의 양성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PCR은 빠르고 효과적인 단순포진 각막염의 진단방법임을 알 수 있었고 비특이적인 각막염을 진단하는데 매우 유용한 검사법이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단순포진 각막염의 진단을 위해서는 PCR 결과와 함께 환자의 임상병력, 각막병변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하겠다(한안지 42:36~42, 2001).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polymerase chain reaction(PCR)in the early diagnosis of Herpes simplex virus keratitis(HSK). Among 47 patients(47 eyes), 25 patients were clinically herpetic keratitis and the others were other kinds of keratitis clinically. Tear film specimens were taken from 32 eyes and corneal scrapings from 21 eyes with suspicious herpetic keratitis and clinically incongrous with HSK. PCR for tear and corneal scraping was performed with using DNA primer. 67% of corneal scrapings and 19% tear samples of suspicious herpetic keratitis showed PCR positive. Tear samples from keratitis clinically incongruous with HSK were all PCR negative but 40% of corneal scrapings from these patients represented PCR positive. From these results, PCR is a rapid and effective tool for the early diagnosis of herpetic keratitis and especially useful in cases of nonspecific corneal lesion. However, for the accurate diagnosis of HSK, not only PCR results but also patient's history and corneal findings should be well evaluated(J Korean Ophthalmol Soc 42:36~42, 2001).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1.42.1.012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