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가 경성 또는 연성 위수정체안에서 후발성 백내장 발생 기간에 미치는 영향
목적 : 원형 전낭절개술, 수정체유화술을 이용한 백내장수술에서 낭내에 삽입된 인공수정체의 재질(경성(PMMA), 연성(silicone))에 따라 당뇨병의 유무, 수술시 당뇨성 망막증의 정도, 수술 전 당뇨의 유병기간이 후발성 백내장 발생 기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 97년 1월부터 2000년 5월까지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을 시행 받은 당뇨환자 41안과 특별한 전신적, 안과적 질환이 없는 비당뇨군 74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수술 후 Nd:YAG 후낭절개술 시행...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2; no. 10; pp. 1383 - 1388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01.10.200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 원형 전낭절개술, 수정체유화술을 이용한 백내장수술에서 낭내에 삽입된 인공수정체의 재질(경성(PMMA), 연성(silicone))에 따라 당뇨병의 유무, 수술시 당뇨성 망막증의 정도, 수술 전 당뇨의 유병기간이 후발성 백내장 발생 기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 97년 1월부터 2000년 5월까지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을 시행 받은 당뇨환자 41안과 특별한 전신적, 안과적 질환이 없는 비당뇨군 74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수술 후 Nd:YAG 후낭절개술 시행까지의 기간은 경성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에는 당뇨안에서 36.3 ±14.1개월, 비당뇨군에서 38.0 ±15.1 개월로 연성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의 25.3 ±11.8 개월과 23.4 ±11.8 개월보다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게 길었으나(P <0.05), 당뇨군과 비당뇨군 사이의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p >0.05). 당뇨망막증의 심한 정도는 후발성 백내장으로 인한 후낭절개술까지의 기간에 영향을 주지않았다(p >0.05). 당뇨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에는 경성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그룹이 연성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그룹 보다 수술 후 후낭절개까지 걸린 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었다(P <0.05). 결론 : 당뇨 유무와 상관 없이 경성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것이 연성인공수정체를 사용한 경우보다 오랫동안 후발성 백내장 없이 지낼 수 있었다. 당뇨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이면서 연성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는 경성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와 당뇨유병기간이 1 0년 이하이면서 연성성인공수정체 삽입한 경우보다 후발성 백내장으로 인한 후낭 절개술이 보다 빨리 필요했다. <한안지 42(10):1383-1388,2001>
Purpose : We studied the effect of the duration of diabetes or the severity of diabetic retinopathy on thedevelopment posterior capsular opacity in patients with PMMA or silicone intraocular lens (IOL) implan-tationfollowing continuos capsulorhexis and phacoemulsification. Methods : 41 eyes of diabetic patients (DM group) and 74 eyes of non-diabetic patients (control group) who had undergone Nd-YAG capsulotomy from January 1997 to May 2000 were included. Results : The average interval from cataract surgery to Nd-YAG capsulotomy was 36.3±14.1 months with PMMA IOL and 25.3±11.8 months with silicone IOL in DM group (p < 0.05). In control group, it was 38.0±15.1 months with PMMA IOL and 23.4±11.8 months with silicone IOL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M and control groups. The severity of DM retinopathy did not influence the duration from cataract operation to posterior capsulotomy in DM group. Among the patients with diabeters for 10 years or longer, the mean interval from cataract operation to capsulotomy was longer in PMMA IOL group compared with silicone IOL group (P<0.05). Conclusion : Diabetics with PMMA IOL may maintain good vision for longer duration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than those with silicone IOL. The silicone IOL group of more than 10-year DM duration needed posterior capsulotomy earlier than PMMA IOL group or the silicone IOL group of less than 10-year DM dur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42(10):1383-1388, 2001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1.42.10.007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