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별 광고가 전문대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 K전문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서 실시하는 매체광고(SNS, 현수막, 고교 내 대학안내게시판, 터미널광고, 지역일간지광 고, 엘리베이터내 영상광고)가 입학생으로 하여금 대학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 정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전북지역 K전문대학 신입생 430명에게 대학의 매체 광고를 접한 빈도를 각 매체별로 질문하 였고, 광고매체가 대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에 미친 영향을 질문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광고매체를 접한 빈 도는 광고 자체의 노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매체별 노출 빈도가 긍정적 이미지 형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0; no. 5; pp. 593 - 600
Main Author 한준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9.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24.10.5.5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전문대학에서 실시하는 매체광고(SNS, 현수막, 고교 내 대학안내게시판, 터미널광고, 지역일간지광 고, 엘리베이터내 영상광고)가 입학생으로 하여금 대학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 정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전북지역 K전문대학 신입생 430명에게 대학의 매체 광고를 접한 빈도를 각 매체별로 질문하 였고, 광고매체가 대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에 미친 영향을 질문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광고매체를 접한 빈 도는 광고 자체의 노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매체별 노출 빈도가 긍정적 이미지 형성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연령별로 자주 접한 매체에 차이가 있으나 전체 연령을 종합하였을 때 현수막과 SNS광고를 접한 빈도가 가장 많았다. 둘째, 매체별 노출 빈도가 대학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엘리베이터광고가 가장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수 막 광고가 그 뒤를 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의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며, 대학이 보다 효율적인 광 고를 통해 좋은 성과를 거두기를 기대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29572416979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24.10.5.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