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신입생을 위한 대학생활설계 교과목 개발 연구 : 충남소재 N대학교를 중심으로

AI시대에 접어 들면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문화도 조금씩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MZ세대들 의 취업난, 실업난 등의 여파로 대학입학에서부터 신입생들은 미래를 걱정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대학생활의 효율 적인 생활을 위해 주도면밀한 계획에서부터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학생활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신 입생들이 대학생활의 정착에 도움을 주며, 자아탐색을 시작으로 진로의 방향을 찾아 가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 이해를 시작으로 타인을 이해하고, 공동체 함양으로 나아가는 인간관계의 소통에 초점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0; no. 5; pp. 323 - 330
Main Authors 정인숙, 이승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9.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24.10.5.32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AI시대에 접어 들면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문화도 조금씩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MZ세대들 의 취업난, 실업난 등의 여파로 대학입학에서부터 신입생들은 미래를 걱정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대학생활의 효율 적인 생활을 위해 주도면밀한 계획에서부터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학생활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신 입생들이 대학생활의 정착에 도움을 주며, 자아탐색을 시작으로 진로의 방향을 찾아 가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 이해를 시작으로 타인을 이해하고, 공동체 함양으로 나아가는 인간관계의 소통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 을 개발하였다. 1주차부터 5주차는 나 알아가기, 6주차부터 10주차는 나·너·우리의 활동중심, 11주차부터 15주차는 우 리의 미래로 구성 하였다. 먼저 자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진로를 계획하여 비전을 제시하고, 자신의 미래를 구체화 하여 청사진을 그려 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우리는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활설계 수 업 참여 학생들의 진로태도의 성숙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학교 및 학과 이탈률 감소, 학교에 대한 만족도 및 자긍 심 고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29572344530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24.10.5.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