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외광고, 매체로서의 외연 확장을 위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활용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의 디지털 매체로서의 기능적 요건을 충분히 갖춘, DOOH(Digital Out of Home)광고를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의 접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드라마⋅영화⋅웹툰 등에서의 적용 사례들을 살펴보았으며, 광고분 야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적 접근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사이니지의 등장과 함께 옥외광고 도 내용 구현 방식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나 콘텐츠 각각의 고유한 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0; no. 2; pp. 81 - 90
Main Author 김윤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03.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24.10.2.81

Cov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의 디지털 매체로서의 기능적 요건을 충분히 갖춘, DOOH(Digital Out of Home)광고를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의 접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드라마⋅영화⋅웹툰 등에서의 적용 사례들을 살펴보았으며, 광고분 야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적 접근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사이니지의 등장과 함께 옥외광고 도 내용 구현 방식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나 콘텐츠 각각의 고유한 영역이라 여겨지던 경계들이 모호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DOOH 광고는 보다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고, 특히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광과의 접목을 통해 독 립된 매체로서의 역할 수행은 물론 DOOH 광고의 외연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트랜 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과의 DOOH 광고의 접목 필요성을 제언한다.
AbstractL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DOOH advertising, which has fully met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a standalone digital medium, with transmedia storytelling as a expansion of a new advertising area.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 of transmedia storytelling used in various fields and its application cases in dramas, movies, and webtoons, and analyzed exampl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approaches in the field of advertis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although OOH advertising ha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way of content implementation with the advent of digital signage, DOOH advertising needs to be approached in a more diverse way in a situation where the boundaries that were considered to be the unique domain of each content are blurring. In particular, it has been analyzed that it can not only fulfill its role as an independent medium but also expand the scope of DOOH advertising by combining it with transmedia storytelling enthusiast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incorporate DOOH advertising with transmedia storytelling strategies.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의 디지털 매체로서의 기능적 요건을 충분히 갖춘, DOOH(Digital Out of Home)광고를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의 접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드라마⋅영화⋅웹툰 등에서의 적용 사례들을 살펴보았으며, 광고분야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적 접근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사이니지의 등장과 함께 옥외광고도 내용 구현 방식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나 콘텐츠 각각의 고유한 영역이라 여겨지던 경계들이 모호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DOOH 광고는 보다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고, 특히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광과의 접목을 통해 독립된 매체로서의 역할 수행은 물론 DOOH 광고의 외연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과의 DOOH 광고의 접목 필요성을 제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의 디지털 매체로서의 기능적 요건을 충분히 갖춘, DOOH(Digital Out of Home)광고를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의 접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드라마⋅영화⋅웹툰 등에서의 적용 사례들을 살펴보았으며, 광고분야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적 접근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사이니지의 등장과 함께 옥외광고도 내용 구현 방식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나 콘텐츠 각각의 고유한 영역이라 여겨지던 경계들이 모호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DOOH 광고는 보다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고, 특히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광과의 접목을 통해 독립된 매체로서의 역할 수행은 물론 DOOH 광고의 외연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과의 DOOH 광고의 접목 필요성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DOOH advertising, which has fully met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a standalone digital medium, with transmedia storytelling as a expansion of a new advertising area.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 of transmedia storytelling used in various fields and its application cases in dramas, movies, and webtoons, and analyzed exampl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approaches in the field of advertis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although OOH advertising ha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way of content implementation with the advent of digital signage, DOOH advertising needs to be approached in a more diverse way in a situation where the boundaries that were considered to be the unique domain of each content are blurring. In particular, it has been analyzed that it can not only fulfill its role as an independent medium but also expand the scope of DOOH advertising by combining it with transmedia storytelling enthusiast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incorporate DOOH advertising with transmedia storytelling strategies. KCI Citation Count: 0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의 디지털 매체로서의 기능적 요건을 충분히 갖춘, DOOH(Digital Out of Home)광고를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의 접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드라마⋅영화⋅웹툰 등에서의 적용 사례들을 살펴보았으며, 광고분 야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적 접근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사이니지의 등장과 함께 옥외광고 도 내용 구현 방식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나 콘텐츠 각각의 고유한 영역이라 여겨지던 경계들이 모호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DOOH 광고는 보다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고, 특히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광과의 접목을 통해 독 립된 매체로서의 역할 수행은 물론 DOOH 광고의 외연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트랜 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과의 DOOH 광고의 접목 필요성을 제언한다.
Author 김윤정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윤정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6697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M1Kw0AUhQdRsNa-gAvJxo2YOH_JTJYl-F8QpPshTScSWltJ3LgUogt3QtUqsVSoFkFQtEKfqZm8g9GKq3PPud-9i7MAZlvtlgRgCUEDMQbJ-q7jVA0MMTXyCBsczYACJpzqkFjW7P9s8nlQiqKgBill1LQRKgBfdZ_U3Xgyupp89te0dDhQH6P0MVFxoh66Wr5St-9adnetek_qIdZUEmfXiZZdjtNeoi4H6ds47XTUzUjLTXbRT59fs_NOOjzTVD9Oe1_5aaLuXxbBnO82I1n60yKobm5UnW29sr-145QruuSc6QxJCzIOfeRD0zWxZ_oQYmlxaNeJi2uIeRRTy0aSUYmhJQnBlvQYNFmtXseUFMHq9G0r9EXDC0TbDX71sC0aoSgfVHcEghTZELIcXpnCjSA6CUSrHjXFbnlv_6dIhJjJGKEWRTm3POWkG54EXlOK4zA4csNTQSm1OSffPa-QK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OI 10.17703/JCCT.2024.10.2.81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DOOH media; Suggestion of using transmedia storytelling approach
EISSN 2384-0366
EndPage 9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419007
JAKO202411757734641
444988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7-71e60780f1f05a52c5f002e6809d3a2b17c424691e74e206e3326ec7057bdd243
ISSN 2384-0358
IngestDate Sat Jul 26 03:11:40 EDT 2025
Thu May 09 22:35:18 EDT 2024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transmedia
옥외광고
transmedia storytelling
DOOH
Digital Signage
OOH
Out-of-Home Advertising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스미디어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7-71e60780f1f05a52c5f002e6809d3a2b17c424691e74e206e3326ec7057bdd243
Notes KISTI1.1003/JNL.JAKO202411757734641
http://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37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175773464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419007
kisti_ndsl_JAKO202411757734641
earticle_primary_44498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3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3-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3
  year: 2024
  text: 202403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8642273
Snippet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의 디지털 매체로서의 기능적 요건을 충분히 갖춘, DOOH(Digital Out of Home)광고를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의 접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DOOH advertising, which has fully met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a standalone digital...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81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2. 옥외광고와 디지털 사이니지의 개념과 변화 3. 옥외광고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의 융합 가능성 Ⅲ. 결론 References
Title 옥외광고, 매체로서의 외연 확장을 위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활용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498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175773464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66972
Volume 1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24, 10(2), , pp.81-9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1XryI4lf9KAHNqe6azE4ymWOS3VIr1csKvYV8TKRUtlLbiwdBWD30IAittrItFVqLIChaoX9Tk_0ffG-S7KZWpBWWMHn5zXvz3iQz72Un8xTlTiB4zMNA1GKMTWiSxDUeh0ktshkEBwFMsjIXwcxDa-oxnZ41Z0fOvK2sWlpeCuvRi79-V_I_vQo06Ff8SvYUPTtgCgQoQ__CEXoYjifqY63ladzWHFMWuObaWsvRXKpxQxYamqOjDbWWqzlMcyjiXIIIpBga95Bi06LAm8BuosIMCkxzdSA1kcRzQa1SYhOq5nDJBEEmlCXcdiQHF-GFGEe2AARPlpco_rC-BW2aqICgvoWNRzQUPEkxJVqqYhsSDQibFkJcc9DMXBngxKu-t6zqSdE5jEoj2aCglGxLgUesAGizUMvhaEkD7GmTyusTyYLjepEcn9sYGOVJPcsXKoSWXxgWj4CsB1ybJdw7afNQ-9zWzbIfQH99OKKDe4TS8r3q66JKs6qzSJ7EpvBHcgbHZjoGQzVm8fa8dh21qOOi_npZs7qt-B_T_ZGNxeejOf_Jgj-_6EP4dN-H2BwcRNyc4SxhTC57mHnZKsdngm8gzeG_8qRBcQNKY3guM8gOxndKGTX5cP6AyIJZXGZEHVii-I4Ntbl3TBd0EIuHC2JHDKjmwAXsLCYVF7B9QTlfxG6qk2MvKiPzC5eUJFvfzTYODvffHf7cvqumezvZj_30Uy_r9rLNdRUuZR--q_2NtWxrN9vsqlmv21_rqf2Vg3Srl63spN8O0tXV7P2-Cif9N9vp56_916vp3is12-6mW7-gai_7-OWy0p5stb2pWpG8pCZw3maGsMD71hMj0c3AJJGZgO8hLFvncSMgocEiSqjFDcGoILolGhBHiYhB-BTGMaGNK8poZ6EjrimqSAweMJM1YkEwX2DAiUFjk4Tg-kdhqI8pV0sr-c_yLWp8Sim37TFlXBrN78TPn_rTzoNHaF3cnJexBrWoMabcBmvKu-Afd8P1E6FuKOeGT9NNZXRpcVncAod9KRyXd9FvVRS_H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8%A5%EC%99%B8%EA%B4%91%EA%B3%A0%2C+%EB%A7%A4%EC%B2%B4%EB%A1%9C%EC%84%9C%EC%9D%98+%EC%99%B8%EC%97%B0+%ED%99%95%EC%9E%A5%EC%9D%84+%EC%9C%84%ED%95%9C+%ED%8A%B8%EB%9E%9C%EC%8A%A4%EB%AF%B8%EB%94%94%EC%96%B4+%EC%8A%A4%ED%86%A0%EB%A6%AC%ED%85%94%EB%A7%81+%EC%A0%84%EB%9E%B5+%ED%99%9C%EC%9A%A9&rft.jtitle=%EB%AC%B8%ED%99%94%EA%B8%B0%EC%88%A0%EC%9D%98+%EC%9C%B5%ED%95%A9%2C+10%282%29&rft.au=%EA%B9%80%EC%9C%A4%EC%A0%95&rft.date=2024-03-31&rft.pub=%EA%B5%AD%EC%A0%9C%EB%AC%B8%ED%99%94%EA%B8%B0%EC%88%A0%EC%A7%84%ED%9D%A5%EC%9B%90&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spage=81&rft.epage=90&rft_id=info:doi/10.17703%2FJCCT.2024.10.2.8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41900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