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수도권 관광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수도권 관광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광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1일부터 5월 31 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50부 중 21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1과 가설 3은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가설 2는 부분 채택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전공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교육정책과 교...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0; no. 5; pp. 299 - 30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9.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수도권 관광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광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1일부터 5월 31 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50부 중 21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1과 가설 3은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가설 2는 부분 채택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전공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교육정책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교과과정 및 수업만족도, 교과목별 맞춤 형 교수법 등 대학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학생들의 본격적 취업준비행동에 앞서 전공 학생의 개인별 맞 춤형 취업전략, 교수와 학생간의 취업상담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시 된다. 특히 전공 학생들이 스스로 진로결정을 할 수 있는 교육시설과 환경, 교과과정, 교육프로그램, 교수상담 등을 통해 효율적인 취업준비 시스템 구축이 필요시 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29572337849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
ISSN: | 2384-0358 2384-0366 |
DOI: | 10.17703/JCCT.2024.10.5.2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