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긍정심리자본이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긍정심리자본이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메타 인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였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J시의 간호대학생을 근접모집단으로 임의 표출하였으며, 총 164부를 최종분석하였다. IBM SPSS/25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크기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는 자기주도학습능 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긍정심리자본, 메타인지와 정적상관이 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1; no. 2; pp. 353 - 366
Main Authors 김정숙, 제남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긍정심리자본이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메타 인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였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J시의 간호대학생을 근접모집단으로 임의 표출하였으며, 총 164부를 최종분석하였다. IBM SPSS/25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크기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는 자기주도학습능 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긍정심리자본, 메타인지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긍정심리자본 은 메타인지의 매개효과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직접적으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적영 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메타인지는 학업성취나 수행결과 향상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이면서도 훈련을 통 해 향상되므로 학생들의 메타인지 능력향상을 위한 PBL,메타인지적 피드백 제공 등 교수기법이나 전략을 활용과 자 기주도학습캠프, 멘토링, 튜터링 프로그램, PBL 워크숍 등의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510750407864
ISSN:2384-0358
2384-0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