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교 특성을 고려한 화재대피 기본 시나리오 개발 연구
학령인구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이지만 특수교육대상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전원 특수교육대상자로 구성된 특수학교는 화재 발생 시 대피의 제약으로 인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특수학교의 소방 및 안전과 관련 한 계획서에서는 특수학교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 및 학교안전계획의 분석 및 교직원 의견 수렴을 통해 조력자 배치 등 필수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후, 전문가의 의견 분석을 통해 특수학교의 특성을 반 영한 화재대피 기본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해당 시나리오가 향후 특수학교별 맞춤형 화재대피 시나...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9; no. 6; pp. 1081 - 1087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12.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Summary: | 학령인구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이지만 특수교육대상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전원 특수교육대상자로 구성된 특수학교는 화재 발생 시 대피의 제약으로 인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특수학교의 소방 및 안전과 관련 한 계획서에서는 특수학교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 및 학교안전계획의 분석 및 교직원 의견 수렴을 통해 조력자 배치 등 필수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후, 전문가의 의견 분석을 통해 특수학교의 특성을 반 영한 화재대피 기본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해당 시나리오가 향후 특수학교별 맞춤형 화재대피 시나리오 개발에 기 여하기를 기대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334662428740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