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유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 사회적 현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국내 베트남 국적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사회적 현존감, 삶의 질을 파악 하고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지원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1년 5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이며, 익명성과 편의성을 위해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25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결과에 대한 유의수준은 .05로 측정하여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연령은 ‘24세-27세’가...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8; no. 5; pp. 271 - 27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9.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국내 베트남 국적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사회적 현존감, 삶의 질을 파악 하고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지원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1년 5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이며, 익명성과 편의성을 위해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25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결과에 대한 유의수준은 .05로 측정하여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연령은 ‘24세-27세’가 가장 많았고, 여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 다. 학년은 4학년이 가장 많았고, 성격은 ‘외향적’이, 대인관계 갈등경험은 ‘때때로’, 한국거주기간은 ‘4년 이상-5년 미 만’이, 한국어능력 수준은 ‘3급’이 가장 많았다. 둘째, 베트남 유학생의 삶의 질은 평균 3.52점(5점 만점)이었고, 긍정 심리자본은 평균 3.98점(6점 만점), 사회적 지지는 2.96점(4점 만점), 사회적 현존감은 3.59점(5점 만점)이었다. 셋째, 베트남 유학생의 삶의 질의 경우, 성격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외향적’ 집단이 ‘혼합형’ 집단보 다 삶의 질이 높았다. 대인관계갈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갈등 없음’ 집단이 ‘갈등 자주’ 집 단보다 삶의 질이 높았다. 넷째, 대상자의 삶의 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자본, 성격(외 향적) 순이었다.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33.2%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29050828149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