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안전관리체계 운영에 대한 검토 및 발전 방향 고찰

연구목적: 해군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위험성 평가체계 개발 등의 노력 을 기울이고 있으나 안전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점검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 시하였다. 연구방법: 해군 안전관리체계 진단을 위해 안전 환경의 변화, 문서체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 등을 검토하고 보완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해군의 안전 정책과 안전관리 방 향을 제시할 수 있는 SMS 기준서와 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안전프로 그램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SM...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9(4) Vol. 19; no. 4; pp. 859 - 868
Main Authors 한정우, 김기재, 이원영, 박교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재난정보학회 3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2208
2671-5287

Cover

Abstract 연구목적: 해군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위험성 평가체계 개발 등의 노력 을 기울이고 있으나 안전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점검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 시하였다. 연구방법: 해군 안전관리체계 진단을 위해 안전 환경의 변화, 문서체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 등을 검토하고 보완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해군의 안전 정책과 안전관리 방 향을 제시할 수 있는 SMS 기준서와 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안전프로 그램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SMS에는 미 해군의 SMS, 국제표준 ISO 45001 규격과 우리 해군의 기존 안전관리체계를 포함한다. 결론: 해군의 안전관리체계는 안전정책과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를 시행할 수 있는 표준프로그램을 통해 안전업무의 공신력과 효용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해군 SMS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List 연구목적: 해군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위험성 평가체계 개발 등의 노력 을 기울이고 있으나 안전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점검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 시하였다. 연구방법: 해군 안전관리체계 진단을 위해 안전 환경의 변화, 문서체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 등을 검토하고 보완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해군의 안전 정책과 안전관리 방 향을 제시할 수 있는 SMS 기준서와 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안전프로 그램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SMS에는 미 해군의 SMS, 국제표준 ISO 45001 규격과 우리 해군의 기존 안전관리체계를 포함한다. 결론: 해군의 안전관리체계는 안전정책과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를 시행할 수 있는 표준프로그램을 통해 안전업무의 공신력과 효용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해군 SMS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목적: 해군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위험성 평가체계 개발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안전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점검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해군 안전관리체계 진단을 위해 안전 환경의 변화, 문서체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 등을 검토하고 보완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해군의 안전 정책과 안전관리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SMS 기준서와 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안전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SMS에는 미 해군의 SMS, 국제표준 ISO 45001 규격과 우리 해군의 기존 안전관리체계를 포함한다. 결론: 해군의 안전관리체계는 안전정책과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를 시행할 수 있는 표준프로그램을 통해 안전업무의 공신력과 효용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해군 SMS 개발이 필요하다. Purpose: In order to enhance safety, the Korea Navy is making efforts to introduce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to develop a risk assessment system, while safety accidents keeps occurring.  A  development plan was proposed through an inspec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MS). Method: To diagnose the Korea Navy's safety management system, changes in the safety environment, documentation system,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peration were reviewed, points to be improved were found, and improvement directions were derived. Result: There is a need for an SMS standard that can present the Korea Navy's safety policy and safety management direction, and a safety program that provides guidelines for implementing it in a standardized manner. To this end, we were able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linking the requirements of the US Navy's SMS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 45001 standard together with the Korea  Navy's safety management system. Conclusion: The Korea Navy's safety management system needs to clearly present safety policies and standards, and have public confidence and effectiveness in safety work through a standard program that can implement them, and for this, the development of a Navy SMS is necessary. KCI Citation Count: 0
Purpose: In order to enhance safety, the Korea Navy is making efforts to introduce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to develop a risk assessment system, while safety accidents keeps occurring. A development plan was proposed through an inspec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MS). Method: To diagnose the Korea Navy's safety management system, changes in the safety environment, documentation system,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peration were reviewed, points to be improved were found, and improvement directions were derived. Result: There is a need for an SMS standard that can present the Korea Navy's safety policy and safety management direction, and a safety program that provides guidelines for implementing it in a standardized manner. To this end, we were able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linking the requirements of the US Navy's SMS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 45001 standard together with the Korea Navy's safety management system. Conclusion: The Korea Navy's safety management system needs to clearly present safety policies and standards, and have public confidence and effectiveness in safety work through a standard program that can implement them, and for this, the development of a Navy SMS is necessary. 연구목적: 해군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위험성 평가체계 개발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안전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점검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해군 안전관리체계 진단을 위해 안전 환경의 변화, 문서체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 등을 검토하고 보완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해군의 안전 정책과 안전관리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SMS 기준서와 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안전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SMS에는 미 해군의 SMS, 국제표준 ISO 45001 규격과 우리 해군의 기존 안전관리체계를 포함한다. 결론: 해군의 안전관리체계는 안전정책과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를 시행할 수 있는 표준프로그램을 통해 안전업무의 공신력과 효용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해군 SMS 개발이 필요하다.
Author 이원영
박교식
한정우
김기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한정우
– sequence: 2
  fullname: 김기재
– sequence: 3
  fullname: 이원영
– sequence: 4
  fullname: 박교식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3070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j1Lw0AcBvBDKlhrv4JkcREC936XsRRfWgsF6X6kyUVCaypJF7cKRRwEXaIiHbooCA6hjV8qTb6Dh3X48yy_58-zD2rRJNI7oI65QDbDUtRAHTmC2xhDuQeaSRIOISNECAp5HXSrNC9-MqtMH8rlvMhnm8_vcpUX67lVvufl2135-mxtHmdVurCK1ay6X1qb7MncwnATX9XLh1Wsl2WWHYDdwB0nuvmfDTA4PRm0z-1e_6zTbvVsLSWzmfSpZIHGglLuCUz10BtC6kpIOeHM4T73HBYgZozmiGGfCYZMy2cO9QNIGuB4-zaKAzXyQjVxw7-8mqhRrFqXg45CkFAmETP4aItHYTINVeQnY9VtXfQxxARSSokZYTYYd7h12o2noTfW6iYOr934VlGKCefkF5JCd2E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63.34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Welfare & Social Work
DocumentTitleAlternate Reviewing the Operation of the Nav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Its Direction
EISSN 2671-5287
EndPage 86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345815
JAKO202304443446724
442366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5-58d485fe27446c724ebcb04a804636596d6c95f155fee6152d575158dd594df03
ISSN 1976-2208
IngestDate Thu Jan 04 07:00:01 EST 2024
Thu Mar 07 06:07:29 EST 2024
Sat Feb 17 04:16:34 EST 2024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위험관리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사고예방
Navy
US Navy
해군
ISO 45001
미해군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ccident Prevention
Risk Management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5-58d485fe27446c724ebcb04a804636596d6c95f155fee6152d575158dd594df03
Notes KISTI1.1003/JNL.JAKO202304443446724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0444344672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45815
kisti_ndsl_JAKO202304443446724
earticle_primary_44236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3-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3
  text: 2023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9(4)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한국재난정보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재난정보학회
SSID ssib053377406
ssib036279126
ssib022331887
ssib044738260
ssib007523208
ssib008451735
Score 1.8553357
Snippet 연구목적: 해군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위험성 평가체계 개발 등의 노력 을 기울이고 있으나 안전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점검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 시하였다. 연구방법: 해군 안전관리체계 진단을 위해 안전 환경의 변화, 문서체계,...
Purpose: In order to enhance safety, the Korea Navy is making efforts to introduce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to develop a risk assessment...
연구목적: 해군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위험성 평가체계 개발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안전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점검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해군 안전관리체계 진단을 위해 안전 환경의 변화, 문서체계,...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859
SubjectTerms 자연과학일반
TableOfContents ABSTRACT 요약 서론 연구 배경 해군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경과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이 해군에 미치는 영향 안전사고 발생 현황 분석 미 해군 안전관리체계의 변화 소결론: 해군 안전관리체계의 실효성 제고 필요 해군 안전관리체계 진단 해군 안전관리 기본 지침서 부재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강화된 안전관리 요구 해군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 실태 해군 안전관리체계 발전 방안 해군의 안전정책과 안전관리 기준을 제시하는 SMS 작성 해군 안전관리 기준에 따라 표준화된 안전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안전프로그램 개발 해군 안전관리체계 SMS 기준서 구성 제안 연구결론 References
Title 해군 안전관리체계 운영에 대한 검토 및 발전 방향 고찰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236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0444344672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30702
Volume 1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2023, 19(4), , pp.859-86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_anjwoil_1owQ0p7KSj5lk5pjsptRK9VKht5BNslJatlK3Fw9SoYgHQS9VkR72oiB4WNr1n9pm_wd_M5NNoiiosJu8nbx57817k5nfZJMXQu5mIvedhNGWk2BtQjnOuQTTUotmqcfTrt1LVfri9Yfe6mO6tsk25-bPN-5a2h9076XPf_tcyf9EFWWIq3xK9h8iWwlFAWjEF1tEGNu_irEZdUzBzJCaUWCGIKxlM2rLIs4lEVgm18eovKMhCs3AM4O2PBQ6s2oueHQ1xScJDnypCN8UUmRo8rYSoNSJ9rKq6JRFHDI1Vwh9KzNKtCsTZkWBUCLAz5ZL3TgurbHwaeLkSlXZsqCj7ImU9TDHqcWDTUp3lfG6llYTSKslMxyjCNQNtV_QrqqrNVRV8rQzrJoFv4RqbiBFhFZlTc2Cgs7MgSH8VnmyZtF-YWWbNAsHb6d57cVxZxkeq-kCYK7lOBb_aT4RjfOGNiYHXuY-L3GGfp3QL9m-KeCt582TedeWo_b6i6gaHX0G9NvIxMQps_0a7ALnYXyuwTaQiS_sGlxT6rtYS1ajM3A-oL96-WzVDInIyt6MxZpcwWwBc_X3eg3MtXGRXCgXS0ageS-Rue3dy2RtejSefB8ZxdHrYng4GR-cfflWnIwnp4dG8WlcfHxZfHhnnL05mB4dG5OTg-mroXE2eovvMdix-zp9_9mYnA6L0egK2ViJNtqrrfKNIK2cc9ZiPKOc9XKZ1dJLfYfm3RQNS7hKe8eEl3mpYD1A5F6eA6o7mfxXEbUyJmjWs9yrZKG_28-vEyNNHZEIJxGMC5rkdpe6qeXnVFhdT-bAWyTXZp6In-q8L7GOzSJZUo6J-9mznXgtePBI9gyZdtGFVTBqkdyBx-LtdCuWudvl_sluvL0XY4V6P7YtlzJusxt_VHCTnKv72i2yMNjbz28D-Q66S6pD_ADyroS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B4%EA%B5%B0+%EC%95%88%EC%A0%84%EA%B4%80%EB%A6%AC%EC%B2%B4%EA%B3%84+%EC%9A%B4%EC%98%81%EC%97%90+%EB%8C%80%ED%95%9C+%EA%B2%80%ED%86%A0+%EB%B0%8F+%EB%B0%9C%EC%A0%84+%EB%B0%A9%ED%96%A5+%EA%B3%A0%EC%B0%B0&rft.jtitle=%ED%95%9C%EA%B5%AD%EC%9E%AC%EB%82%9C%EC%A0%95%EB%B3%B4%ED%95%99%ED%9A%8C%EB%85%BC%EB%AC%B8%EC%A7%91&rft.au=%ED%95%9C%EC%A0%95%EC%9A%B0&rft.au=%EA%B9%80%EA%B8%B0%EC%9E%AC&rft.au=%EC%9D%B4%EC%9B%90%EC%98%81&rft.au=%EB%B0%95%EA%B5%90%EC%8B%9D&rft.date=2023-12-31&rft.issn=1976-2208&rft.volume=19&rft.issue=4&rft.spage=859&rft.epage=868&rft.externalDocID=44236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220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220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220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