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안전관리체계 운영에 대한 검토 및 발전 방향 고찰

연구목적: 해군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위험성 평가체계 개발 등의 노력 을 기울이고 있으나 안전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점검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 시하였다. 연구방법: 해군 안전관리체계 진단을 위해 안전 환경의 변화, 문서체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 등을 검토하고 보완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해군의 안전 정책과 안전관리 방 향을 제시할 수 있는 SMS 기준서와 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안전프로 그램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SM...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9(4) Vol. 19; no. 4; pp. 859 - 868
Main Authors 한정우, 김기재, 이원영, 박교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재난정보학회 3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2208
2671-528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해군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위험성 평가체계 개발 등의 노력 을 기울이고 있으나 안전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점검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 시하였다. 연구방법: 해군 안전관리체계 진단을 위해 안전 환경의 변화, 문서체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 등을 검토하고 보완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해군의 안전 정책과 안전관리 방 향을 제시할 수 있는 SMS 기준서와 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안전프로 그램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SMS에는 미 해군의 SMS, 국제표준 ISO 45001 규격과 우리 해군의 기존 안전관리체계를 포함한다. 결론: 해군의 안전관리체계는 안전정책과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를 시행할 수 있는 표준프로그램을 통해 안전업무의 공신력과 효용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해군 SMS 개발이 필요하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304443446724
ISSN:1976-2208
2671-5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