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불편함 경험과 이동성과의 관계 연구 : 기술 활용 능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교통 분야에 서도 교통수단 선택, 경로 및 도착 정보 확인 등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가 활발하게 제공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경험하는 불편함 경험 여부에 따른 이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동성 영향요인에서 기술 활용 능력을 조절 변수로 선정하고 그에 대한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불편함을 경험한 비율은 16.4%, 이동성은 평균 48.4점이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23; no. 3; pp. 67 - 79
Main Authors 조아해, 서지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ITS학회 30.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24.23.3.67

Cover

Loading…
Abstract 최근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교통 분야에 서도 교통수단 선택, 경로 및 도착 정보 확인 등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가 활발하게 제공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경험하는 불편함 경험 여부에 따른 이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동성 영향요인에서 기술 활용 능력을 조절 변수로 선정하고 그에 대한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불편함을 경험한 비율은 16.4%, 이동성은 평균 48.4점이며, 기술 활용 능력은 3.78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불편함 경험은 종속변수인 이동성과 통계적으 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며,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술 활용 능력의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이동성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는 기술 활용 능력이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디지털 기반 교통서 비스 이용 활성화와 디지털 격차 해소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List 최근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교통 분야에 서도 교통수단 선택, 경로 및 도착 정보 확인 등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가 활발하게 제공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경험하는 불편함 경험 여부에 따른 이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동성 영향요인에서 기술 활용 능력을 조절 변수로 선정하고 그에 대한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불편함을 경험한 비율은 16.4%, 이동성은 평균 48.4점이며, 기술 활용 능력은 3.78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불편함 경험은 종속변수인 이동성과 통계적으 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며,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술 활용 능력의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이동성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는 기술 활용 능력이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디지털 기반 교통서 비스 이용 활성화와 디지털 격차 해소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se instructions give you guidelines for preparing papers for JDCS. Recently, the use of digital devices like kiosks and smartphones has expanded, leading to the active provision of digital-based service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such as choosing transportation modes and checking route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discomfort when using digital transportation services and mobility. It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proficiency on this relationship. The study found that 16.4% of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omfort, with an average mobility score of 48.4 points and a technological proficiency score of 3.78 points. Discomfort with digital transportation servic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bility. Additionally, technological proficiency positively influenced mobility. This study analyzes and presents the impact of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on mobility.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aking policy on the need to revitalize the use of digital-based transportation service and bridge the digital divide. 최근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교통 분야에서도 교통수단 선택, 경로 및 도착 정보 확인 등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가 활발하게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경험하는 불편함 경험 여부에 따른 이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동성 영향요인에서 기술 활용 능력을 조절 변수로 선정하고 그에 대한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불편함을 경험한 비율은 16.4%, 이동성은 평균 48.4점이며, 기술 활용 능력은 3.78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불편함 경험은 종속변수인 이동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며,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술 활용 능력의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이동성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 활용 능력이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활성화와 디지털 격차 해소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최근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교통 분야에서도 교통수단 선택, 경로 및 도착 정보 확인 등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가 활발하게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경험하는 불편함 경험 여부에따른 이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동성 영향요인에서 기술 활용 능력을 조절 변수로선정하고 그에 대한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특성에따라 불편함을 경험한 비율은 16.4%, 이동성은 평균 48.4점이며, 기술 활용 능력은 3.78점인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불편함 경험은 종속변수인 이동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며,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술 활용 능력의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이동성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 활용 능력이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활성화와 디지털 격차 해소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se instructions give you guidelines for preparing papers for JDCS. Recently, the use of digital devices like kiosks and smartphones has expanded, leading to the active provision of digital-based service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such as choosing transportation modes and checking route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discomfort when using digital transportation services and mobility. It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proficiency on this relationship. The study found that 16.4% of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omfort, with an average mobility score of 48.4 points and a technological proficiency score of 3.78 points. Discomfort with digital transportation servic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bility. Additionally, technological proficiency positively influenced mobility. This study analyzes and presents the impact of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on mobility.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aking policy on the need to revitalize the use of digital-based transportation service and bridge the digital divide.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조아해
서지훈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조아해
– sequence: 2
  fullname: 서지훈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590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E9rGkEYh4eSQK3xC_RQ5tJLwe38253Z3iQ0adKAELwP6zpbFq2WXS-95bAESSGpkJAoBhQiScGDrVos2C-0O_sdumpPP17e5_fA-74AO81WUwHwEiMDE4HNt3W_HRoEEWYQalDD4s9AjlDBipgTewfkMKeiiDhnz0EhDP0qohbhNkIkB7rJ9bV-PEujJYyX02R6B-PF9_R8oaNB8ifSFw9Q3891_wdMfnfSy2V68wTjX3_T27t4tlqvkquejn5mg77PqvOzeBZBfTuNFxP4bm3UnSFMe4ON4WKcDMdrTo-metiBaf8pKybjTPTQ1d8merBKRoM9sOs5jVAV_mceVA7eV_Y_FE_Kh0f7pZOiEtllLsUuqQobE4so5ChWxbSmXOzZgtaqHrWU5xHElEOFrSxh26aLEBfCVMqxaq5L8-DNVtsMPFl3fdly_E1-asl6IEunlSOJkUltJlgGv97CdT9s-7JZCxvyuPSxvP45IZbJLUwJ4xn3asspJ2j7bkPJL4H_2Qm-SmZiktn-AdNxroI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88.3
DOI 10.12815/kits.2024.23.3.67
DatabaseName eARticl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conomics
Journalism & Communications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Discomfort in Digital-Based Transportation Services and Mobility: The Role of Technological Proficiency as a Moderator
EISSN 2384-1729
EndPage 7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39484
JAKO202422657613247
451205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4-c31c2b891262e0ae4b13dec1f983dbf36eff204ea389e68995c007885eea6dcc3
ISSN 1738-0774
IngestDate Sat Jul 13 03:11:37 EDT 2024
Wed Sep 04 02:15:13 EDT 2024
Tue Jul 02 04:20:15 EDT 2024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3
Keywords Bootstrapping
Technological Proficiency
Mobility
조절 효과
Moderation Effect
기술 활용 능력
부트스트래핑
Digital-Based Transportation Services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동성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4-c31c2b891262e0ae4b13dec1f983dbf36eff204ea389e68995c007885eea6dcc3
Notes KISTI1.1003/JNL.JAKO202422657613247
http://journal.kits.or.kr/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2265761324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39484
kisti_ndsl_JAKO202422657613247
earticle_primary_45120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4
  text: 2024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韓國ITS學會 論文誌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ITS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ITS학회
SSID ssib036279002
ssib053377138
ssib012146223
ssib023739049
ssib004698092
ssib008451679
ssib044738259
Score 2.2575037
Snippet 최근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교통 분야에 서도 교통수단 선택, 경로 및 도착 정보 확인 등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가 활발하게 제공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경험하는 불편함 경험 여부에 따른...
These instructions give you guidelines for preparing papers for JDCS. Recently, the use of digital devices like kiosks and smartphones has expanded, leading to...
최근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교통 분야에서도 교통수단 선택, 경로 및 도착 정보 확인 등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가 활발하게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경험하는 불편함 경험 여부에따른...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67
SubjectTerms 전자/정보통신공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2. 조사자료 3. 측정 도구 4.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인구 사회학적 특성 2. 주요 변수 특성 3. 주요 연구모형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REFERENCES
Title 디지털 기반 교통서비스 이용 불편함 경험과 이동성과의 관계 연구 : 기술 활용 능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51205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2265761324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5904
Volume 2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ITS학회 논문지, 2024, 23(3), 113, pp.67-7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LT14kUUvz9KQHNadk0mk2TGW5Ld0laqB1foLWyyiZSVrdTtxYP0sEipoBUq_WALLbRYoYfVtlKh_qFN9h948M0k251akSqU9O3LmzfvY8K8l8nMk6R71ahi-EZI8mpk0DyuVqM8RUGYx2bg6zqu-qrO9g5PPDJHn-LxSWNyYPCn8NXSbMMvBK_-uK_kf7wKOPAr2yX7D549ZgoIgMG_cAUPw_VMPlZKjkIx-yu5im2xrxZKRYVgxSE5pWTDP8VRGRFcaYYyFJpSmQyGdkBOXU5EGcwwtmLjHINoUXE4igKK5jiVqRDCGZQYfwCoodgZc6Q4RY6yoD-O0RXHFVk5ChlRKM06drRjooymJybmyvB7JJPF4spwFWyXvckQVHSZULaa451TrpAoNNPIYICtcqDfFdhNyzjAPUJSDkBOBMkc1ijTwwZzabxDh4nBWLk9Ig1gMdrPrMOkScUujpWf9JA064m4qYhGj4vL7dpzKGLVAyENEN-InxAbeDG3caYOFkkyzwpDg0I_RHzRg3Dvq8Ts0TyjyMJcZsFcplppEaRCyHEQoOE8xKxUmLPScihZ9JNW9jk1ryLCzyCpTTXYEfcIF5Be0Au9luIh5r8FFyeOMa8FU96zaa8240GyNuZBaK9TTPCgdA5BkscKr0y8Lglr7pSowpo_YTWl-2vKGitJLwS3SLd0KqwZQ2RmUbV_uB3GYA8h2Yc8x7I0Xur-2FLZrjqm7f1TurJwNXvUIZNl6d0UBKT1mUgISMsXpQtZJinbKe0laaA2fVlajJeWkk9z3eah3Dlsx-0VuXOw2H1zkDRb8fdmsrAlJ-v7ydpnOf4233132P24I3e-_ugur3T2jtit-P1q0vwCP5J1aLo_19lryslyu3Ow-4AxTOY35O5qizNY2I43thlZstlONubl7toOtIu3gc_Wh-TtbtI6ijdbV6TySKnsjuazoiv5kMDYCHQtQD6hGjJRqFZC7Gt6NQy0iBK96ke6GUYRUnFYgUQnNAmlRsCyDGKEYcWsBoF-VRqqT9fD65JMILXTKrpPA2BMSEg1aE6QH1T8SkCRdUO61rOn9yI9WscDFyPVuCENc_N69erL5964_fAx8wMkioYF2QfC0PQu2J2Pp7-Mq5tnorolne8_bbelocbMbHgHEo2GP8zH4y_0mv6o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94%94%EC%A7%80%ED%84%B8+%EA%B8%B0%EB%B0%98+%EA%B5%90%ED%86%B5%EC%84%9C%EB%B9%84%EC%8A%A4+%EC%9D%B4%EC%9A%A9+%EB%B6%88%ED%8E%B8%ED%95%A8+%EA%B2%BD%ED%97%98%EA%B3%BC+%EC%9D%B4%EB%8F%99%EC%84%B1%EA%B3%BC%EC%9D%98+%EA%B4%80%EA%B3%84+%EC%97%B0%EA%B5%AC%3A+%EA%B8%B0%EC%88%A0+%ED%99%9C%EC%9A%A9+%EB%8A%A5%EB%A0%A5%EC%9D%98+%EC%A1%B0%EC%A0%88+%ED%9A%A8%EA%B3%BC%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D%95%9C%EA%B5%ADITS%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23%283%29&rft.au=%EC%A1%B0%EC%95%84%ED%95%B4&rft.au=%EC%84%9C%EC%A7%80%ED%9B%88&rft.date=2024-06-30&rft.pub=%ED%95%9C%EA%B5%ADITS%ED%95%99%ED%9A%8C&rft.issn=1738-0774&rft.eissn=2384-1729&rft.spage=67&rft.epage=79&rft_id=info:doi/10.12815%2Fkits.2024.23.3.6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53948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077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077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077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