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연장보육전담교사의 일과운영경험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본 연구는 연장반 전담교사들의 일과 운영 경험을 알아보고 연장 보육 전담교사의 놀이 중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에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연장반 전담교사 8명이며, 2023년 9월부터 10월까지 개인별 심층 면담을 2회씩 실시하여 자료수집을 수행하였 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영유아 혼합반의 구성으로 영아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요구가 다르므로 놀이 중심교육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연장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0; no. 5; pp. 473 - 483
Main Authors 지인숙, 박지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9.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24.10.5.47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연장반 전담교사들의 일과 운영 경험을 알아보고 연장 보육 전담교사의 놀이 중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에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연장반 전담교사 8명이며, 2023년 9월부터 10월까지 개인별 심층 면담을 2회씩 실시하여 자료수집을 수행하였 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영유아 혼합반의 구성으로 영아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요구가 다르므로 놀이 중심교육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연장반 전담교사들은 연장반 교실에 부재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보조교사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넷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놀이중심교육을 수행하기에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장보육전담교사 를 위한 전담교실, 놀이중심교육을 위한 연수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29572387947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24.10.5.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