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 감지를 통한 에너지저장장치용 열화감지시스템 연구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에 사용되고 있는 배터리는 수많은 셀이 직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높은 에너지 밀도와 출력, 낮은 자기방전, 높은 충·방전율, 장수명 등 우수한 성능으로 인해 사용이 증가하지만, 그에 따른 화재 사고도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화재 사고를 예방하기 특정 온도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시스템 차단 및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분야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아크 사고는 지속시간이 길어지면 전력기기가 파손 되어 장시간의 정전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순간...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5; no. 3; pp. 157 - 16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30.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5.25.3.157 |
Cover
Loading…
Summary: |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에 사용되고 있는 배터리는 수많은 셀이 직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높은 에너지 밀도와 출력, 낮은 자기방전, 높은 충·방전율, 장수명 등 우수한 성능으로 인해 사용이 증가하지만, 그에 따른 화재 사고도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화재 사고를 예방하기 특정 온도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시스템 차단 및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분야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아크 사고는 지속시간이 길어지면 전력기기가 파손 되어 장시간의 정전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순간 작업자가 아크에 노출될 경우, 심각한 인명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 사례를 줄이면서 에너지저장장치의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아크 자외선 포집을 이용한 에너지저장장치용 열화감지시스템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18343201218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5.25.3.1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