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교육의 체제적 교수학습 실천 방안에 대한 고찰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이 지나치게 강의식 교수법에 의존하고 있고 대부분의 교양교육 과정이 학습자 보다는 교수자의 의도에 따라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체제적 교수학습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전통적인 방식에서의 교수학습 방법만을 중요시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공학적 관점에서의 체제 접근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의 교과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을 설계하고학습자간 협력적 지식창출 과정을 포함한 혼합학습 방법을 통해 교양교육의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7; no. 5; pp. 343 - 376
Main Author 이현경(Lee, Hyun Ky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1.10.2013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이 지나치게 강의식 교수법에 의존하고 있고 대부분의 교양교육 과정이 학습자 보다는 교수자의 의도에 따라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체제적 교수학습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전통적인 방식에서의 교수학습 방법만을 중요시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공학적 관점에서의 체제 접근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의 교과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을 설계하고학습자간 협력적 지식창출 과정을 포함한 혼합학습 방법을 통해 교양교육의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평가에 있어서 교양교육의 목적이 학습자의 단순 지식 획득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대학이 배출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교양 및 전문인으로서의 자질을 양성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육 후 학습자의 만족도나 성취도 등 양적인 결과 평가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 목적과 연계하여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학습자의 교수학습 활동, 태도의 변화 등을 평가하는 질적인 과정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교수학습의 내용, 방법, 목적 등을 고려한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양교육의 체제적 교수학습 요소들과 실천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practical plans to implement effective instruction for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Most general education courses have used lecture-centered instructional methods that instructors have mainly led the courses without considering students’ involvements. However, it can not be an unique method for general education but there are more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To implement effective instruction of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systems approach based on educational technology perspectives. With the systems approach, the study presents three practical plans of effective instruction in general education: (i) the design of instruc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rough knowledge objects of each subject; (ii) the use of blended learning including collaborative knowledge creation process among learners; and (iii) implementation of qualitative process evaluation methods including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learners’ attitudes related to instructional purposes during instruction. In conclusion, to implement effective instruction i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three practical plans based on systems approach including instructional purposes, contents, and methods will provide crucial implications for successful general education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11
Bibliography:G704-SER000001745.2013.7.5.017
http://www.kagedu.or.kr
ISSN:1976-3212
271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