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교육과정 평가 연구
본 연구는 교양교육과정 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K대학교 교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개발된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교양교육과정의 투입, 과정, 산출의 구성요소들 간에 어떠한 인과적 관련성을 갖는가를 알아보고 자 투입-과정-산출의 거시적 연구모형에 따라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2016년, 2017년의 3개년에 걸쳐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 지를 이용한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 Korean Social Scie...
Saved in:
Published in | 교양교육연구 Vol. 13; no. 1; pp. 117 - 14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양교육학회
28.02.2019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교양교육과정 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K대학교 교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개발된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교양교육과정의 투입, 과정, 산출의 구성요소들 간에 어떠한 인과적 관련성을 갖는가를 알아보고 자 투입-과정-산출의 거시적 연구모형에 따라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2016년, 2017년의 3개년에 걸쳐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 지를 이용한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 Korean Social Science Data Center)의 웹서버(web server)에 의한 전자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표본추출방법은 자유 응답 단순 무작위 추출법(freeresponse simple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기간은 2015년의 경우 12월 1 일부터 12월 10일까지 10일간 실시하였으며, 2016년, 2017년의 경우 11월 1일부터 11월 10일에 걸쳐 10일간 각각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분석 방법은 측정도구에 대한 개념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 연구모형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개념타당도와 신뢰도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 하였다. 둘째, 하위요인별, 연도별 기술통계량 분석에서 집단별에서는 학생들에 비해서 교수들이 상대 적으로 교양교육과정 전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거나 더 높게 평가한다는 점, 그리고 K대 학교의 연도별 교양교육과정 평가에서 2015년도에 비해 2016년도, 2015년도와 2016년도에 비해 2017년도가 더 긍정적으로 평가되거나 더 높게 평가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교양교육과정의 투입, 과정, 산출의 인과적 관계 검정에서 정 적인 인과적 관계를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교양교육과정의 투입부분이 높을수록 과정부분이 높게 나타나며, 투입부분과 과 정부분이 높을수록 교양교육과정 산출부분의 교양교육과정 평가와 교양교육과정 만족도가 높게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put for the estimate of liberal arts education on the process for the estimate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output for the estimat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survey.
The analysis data in this study are collected by electronic questionnaire using the web serve of the Korean Social Science Data Center in October, 2015, 2016, 2017.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Multiple-Regression of path analysis of SPSSWIN were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have confirmed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concep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Second, we found that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was more positive or highly evaluated by the professor than by the students. Third, we found that three parts of input, process, and output for the estimate of liberal arts education had a proportional causal relationship. As a result, We have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puts to liberal education, the higher the process, and the higher the input and process of liberal education, the higher the output of liberal arts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976-3212 271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