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공관리론으로 바라본 보령화력발전소 화재 사고의 원인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administrative paradigm of the times affected the public sector's fire. Method: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New Public Management (NPM). In addition, the reasons of fire accident of Boryeong thermal power plant were analyzed i...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5(2) Vol. 15; no. 2; pp. 268 - 28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재난정보학회
30.06.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2208 2671-5287 |
DOI | 10.15683/kosdi.2019.06.30.268 |
Cover
Summary: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administrative paradigm of the times affected the public sector's fire. Method: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New Public Management (NPM). In addition, the reasons of fire accident of Boryeong thermal power plant were analyzed in the limited values of NMP. Result: In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3 values (managerial accountability, efficiency, expertise) of NMP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drew out. In investigation on reasons of fire accident, the improvement of accountability and expertise was insufficient due to the emphasis of the efficiency based on the introduction to free market by neoliberalism in public sector. Conclusion: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the values of NMP were limited to forcingly apply to the public sector.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basic research references to fire administration theor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대적 행정 패러다임이 공공부문의 화재 발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찾으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신공공관리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보령화력발전소 화재 사고 사례의 원인을 신공공관리론적 가치의 한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론적 고찰 결과, 신공공관리론의 가치 3가지(관리적 책임성, 능률성, 전문성)와 그에 따른 연구준거를 도출할 수 있었다. 사고 사례의 원인 분석 결과, 공공부문에서 신자유주의 시장화에 기반을 둔 능률성이 과도하게 강조되어 관리적 책임성과 전문성 고양에는 미흡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신공공관리론적 가치를 공공부문의 안전관리 부분에 과도하게 적용하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소방행정이론의 학술적 발전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919033493105 |
ISSN: | 1976-2208 2671-5287 |
DOI: | 10.15683/kosdi.2019.06.30.2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