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컴포넌트 추상화 모델 기반 자율형 IoT 통합개발환경 구현

최근 이질적인 하드웨어 특성을 고려한 IoT 응용 지원 프레임워크의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뇌를 모사하여 스스로 학습 및 자율적 컴퓨팅이 가능한 뉴로모픽 아키텍처의 발전으로 하드웨어 지원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IoT 통합개발환경에서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지원하거나 뉴로모픽 아키텍처와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와 결합된 서비스 지원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2세대 인공 신경망 및 3세대 스파이킹 신경망 모델을 모두 지원하는 AI 컴포넌트 추상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1; no. 5; pp. 71 - 77
Main Authors 김서연, 윤영선, 은성배, 차신, 정진만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31.10.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9-0238
2289-0246
DOI10.7236/JIIBC.2021.21.5.71

Cover

Abstract 최근 이질적인 하드웨어 특성을 고려한 IoT 응용 지원 프레임워크의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뇌를 모사하여 스스로 학습 및 자율적 컴퓨팅이 가능한 뉴로모픽 아키텍처의 발전으로 하드웨어 지원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IoT 통합개발환경에서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지원하거나 뉴로모픽 아키텍처와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와 결합된 서비스 지원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2세대 인공 신경망 및 3세대 스파이킹 신경망 모델을 모두 지원하는 AI 컴포넌트 추상화 모델을 설계하고 제안 모델 기반의 자율형 IoT 통합개발환 경을 구현하였다. IoT 개발자는 AI 및 스파이킹 신경망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제안 기법을 통해 자동으로 AI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런타임에 따라 코드 변환이 유연하여 개발 생산성이 높다. 제안 기법의 실험을 진행하여 가상 컴포넌 트 계층으로 인한 변환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있으나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List 최근 이질적인 하드웨어 특성을 고려한 IoT 응용 지원 프레임워크의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뇌를 모사하여 스스로 학습 및 자율적 컴퓨팅이 가능한 뉴로모픽 아키텍처의 발전으로 하드웨어 지원의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IoT 통합개발환경에서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지원하거나뉴로모픽 아키텍처와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와 결합된 서비스 지원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2세대 인공 신경망 및 3세대스파이킹 신경망 모델을 모두 지원하는 AI 컴포넌트 추상화 모델을 설계하고 제안 모델 기반의 자율형 IoT 통합개발환경을 구현하였다. IoT 개발자는 AI 및 스파이킹 신경망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제안 기법을 통해 자동으로 AI 컴포넌트를생성할 수 있으며 런타임에 따라 코드 변환이 유연하여 개발 생산성이 높다. 제안 기법의 실험을 진행하여 가상 컴포넌트 계층으로 인한 변환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있으나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Recently, there is a demand for efficient program development of an IoT application support frameworks considering heterogeneous hardwar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cope of hardware support is expanding with the development of neuromorphic architecture that mimics the human brain to learn on their own and enables autonomous computing. However, most existing IoT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support AI(Artificial Intelligence) or to support services combined with various hardware such as neuromorphic architectures. In this paper, we design an AI component abstract model that supports the second-generation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he third-generation SNN(Spiking Neural Network), and implemented an autonomous IoT IDE based on the proposed model. IoT developers can automatically create AI components through the proposed technique without knowledge of AI and SNN. The proposed technique is flexible in code conversion according to runtime, so development productivity is high. Through experimentation of the proposed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version delay time due to the VCL(Virtual Component Layer) may occur, but th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 KCI Citation Count: 1
Recently, there is a demand for efficient program development of an IoT application support frameworks considering heterogeneous hardwar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cope of hardware support is expanding with the development of neuromorphic architecture that mimics the human brain to learn on their own and enables autonomous computing. However, most existing IoT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support AI(Artificial Intelligence) or to support services combined with various hardware such as neuromorphic architectures. In this paper, we design an AI component abstract model that supports the second-generation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he third-generation SNN(Spiking Neural Network), and implemented an autonomous IoT IDE based on the proposed model. IoT developers can automatically create AI components through the proposed technique without knowledge of AI and SNN. The proposed technique is flexible in code conversion according to runtime, so development productivity is high. Through experimentation of the proposed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version delay time due to the VCL(Virtual Component Layer) may occur, but th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 최근 이질적인 하드웨어 특성을 고려한 IoT 응용 지원 프레임워크의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뇌를 모사하여 스스로 학습 및 자율적 컴퓨팅이 가능한 뉴로모픽 아키텍처의 발전으로 하드웨어 지원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IoT 통합개발환경에서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지원하거나 뉴로모픽 아키텍처와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와 결합된 서비스 지원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2세대 인공 신경망 및 3세대 스파이킹 신경망 모델을 모두 지원하는 AI 컴포넌트 추상화 모델을 설계하고 제안 모델 기반의 자율형 IoT 통합개발환경을 구현하였다. IoT 개발자는 AI 및 스파이킹 신경망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제안 기법을 통해 자동으로 AI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런타임에 따라 코드 변환이 유연하여 개발 생산성이 높다. 제안 기법의 실험을 진행하여 가상 컴포넌트 계층으로 인한 변환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있으나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최근 이질적인 하드웨어 특성을 고려한 IoT 응용 지원 프레임워크의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뇌를 모사하여 스스로 학습 및 자율적 컴퓨팅이 가능한 뉴로모픽 아키텍처의 발전으로 하드웨어 지원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IoT 통합개발환경에서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지원하거나 뉴로모픽 아키텍처와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와 결합된 서비스 지원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2세대 인공 신경망 및 3세대 스파이킹 신경망 모델을 모두 지원하는 AI 컴포넌트 추상화 모델을 설계하고 제안 모델 기반의 자율형 IoT 통합개발환 경을 구현하였다. IoT 개발자는 AI 및 스파이킹 신경망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제안 기법을 통해 자동으로 AI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런타임에 따라 코드 변환이 유연하여 개발 생산성이 높다. 제안 기법의 실험을 진행하여 가상 컴포넌 트 계층으로 인한 변환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있으나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uthor 차신
김서연
은성배
정진만
윤영선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서연
– sequence: 2
  fullname: 윤영선
– sequence: 3
  fullname: 은성배
– sequence: 4
  fullname: 차신
– sequence: 5
  fullname: 정진만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6893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DtLw1AAhS9SwVr7Bxwki4ND4n3l3mSsxUdqoSDZL2keEloTSbo4isVBFB1aaKE4V-lQxEpB_EN5_AejFeHAOcPH4XA2QSkIAxeAbQQVjgnbbxjGQV3BECOlkKpwtAbKGGu6DDFlpf9MtA1QjWO_DQlEOmWUlUGrZkjZ53v-OEv79_ndUso-BtnNdT4eSOnrNH1YSslyns5HUvb8lE2m-WgoGaEp5beLfPiSzCfpfJKPR8nbl5QsZvmovwXWPasbu9U_rwDz6NCsn8jN1rFRrzVlV-NEVrlONeSiYrNjO3abOtx2uOOqtkYdyKmHPYgQw47qQWrpUPWQ6jFOGHZViignFbC3qg0iT3RsX4SW_-vnoehEonZmGkLXOGUaKdjdFdvx454vAifuikbttPVzGIGcQYgIY3rB7aw414p6vt11xWXkX1jRlaDFj7pKvgGJSH7K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004
DOI 10.7236/JIIBC.2021.21.5.71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Computer Science
DocumentTitleAlternate Implementation of Autonomous IoT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based on AI Component Abstract Model
EISSN 2289-0246
EndPage 7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874683
JAKO202130760013669
402495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UV
JDI
ACYCR
M~E
ID FETCH-LOGICAL-e873-579481e1202dcdcb4d7cd7de5c84d074f2f01162d5f04a905f15f67362e541473
ISSN 2289-0238
IngestDate Tue Nov 21 21:41:27 EST 2023
Fri Dec 22 12:04:00 EST 2023
Tue Apr 22 16:21:05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5
Keywords IoT Application
Spiking Neural Networks
AI Component
Neuromorphic Hardware
Autonomous IoT ID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3-579481e1202dcdcb4d7cd7de5c84d074f2f01162d5f04a905f15f67362e541473
Notes KISTI1.1003/JNL.JAKO202130760013669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3076001366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874683
kisti_ndsl_JAKO202130760013669
earticle_primary_40249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110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1-10-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21
  text: 202110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Year 2021
Publisher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SSID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ssib022331885
Score 2.1614046
Snippet 최근 이질적인 하드웨어 특성을 고려한 IoT 응용 지원 프레임워크의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뇌를 모사하여 스스로 학습 및 자율적 컴퓨팅이 가능한 뉴로모픽 아키텍처의 발전으로 하드웨어 지원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IoT...
Recently, there is a demand for efficient program development of an IoT application support frameworks considering heterogeneous hardware characteristics. In...
최근 이질적인 하드웨어 특성을 고려한 IoT 응용 지원 프레임워크의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뇌를 모사하여 스스로 학습 및 자율적 컴퓨팅이 가능한 뉴로모픽 아키텍처의 발전으로 하드웨어 지원의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IoT...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71
SubjectTerms 컴퓨터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연구 Ⅲ. AI 컴포넌트 추상화 모델 1. 제안 모델 2. 가상 컴포넌트 계층 3. 구현 이슈 Ⅳ. 실험 및 결과 1. 실험 환경 2. 실험 평가 Ⅴ. 결론 References
Title AI 컴포넌트 추상화 모델 기반 자율형 IoT 통합개발환경 구현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02495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3076001366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68936
Volume 2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21, 21(5), , pp.71-77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attAcEnSSy99P9JHEKV7MnYleVe7e5RshzglzcWFnCpkPYpxsYvjXHoolIYeSkt7SMCB0HNacjClKYHSH7Ktf-jsSrKVNNAHGFmMZmd3Z7S7M6vZGYTucyb0wGOguXkEDBTuGUXhWc0io00WmV7okVAaimuPrJXHZHWDbszNP8l5LW31myX_xZnnSv5HqgADucpTsv8g2SlRAMA9yBeuIGG4_pWM7XoB1yrYcbBDcK2K-TK2K7jmYA4aYkVBbOzwBMnCgsgbXgbtUT4TAiAFiW7b2OaqXDVBl6Wwo0sQXEVCQdSw0NVNRaEDBY4FLdS7jYKqy8IOVWCKbaGI6BI3JVLJ6uTqkYmdalITVY1W1JI8bpmyLF_hXGQLqSK38r4NLbWbmXxNafa6XuB7m_3s0KWfP_miNj5W63VnuiesahbSz0OyhKjmQc8YNHWGknRVcU02zkhx7ZMo1RkVx0h7e5IKACTDAMXJCqcbLaaRW6HUfGya0rvMTILRlMI8LN1FTRcU08gNHJpbHZJkM6mekWSvOb2CMVOl2FEcKclWlOBHS1nJfLjwU8v41Lly1X64LkuW1UdXo2xZYh6dMxlTbgxrL2vZfGsaFuDNzElTRrkSM3MZ5n5BcuHnQNdhoEBO52tCGKFiFlUWLAcGFFQSyIxXyTk12asHv_dJKoDp4AHbUBpMLVDxOr0op-I1LqELqW2m2QnuZTTX7l5BF7O8J1q6DF5F63Zdm_z4Fn84HG-_i98ea5PvO5PXr-K9HW385WD8_lgbHQ_Hw4E2-fRxsn8QD3Y1GCNa_OYo3v08Gu6Ph_vx3mD09ac2OjqMB9vXUGO51qisFNPEJMWQs3KRMhniKDSgK4Ef-E0SMD9gQUh9TgJQySMzkp83zYBGOvGETiODRtJ_0gwpMQgrX0cLnW4nvIk0i4N5pofM18MmGC5cMM_iRkQE86kfBNEiupFxyH2ehJ9xiYzySRfRkmKY2wk2n7lnyHwR3QNOum2_5coQ8vL_addt91wwlOuu4IxYvHzrT1Ruo_OzsXAHLfR7W-FdUMP7zSX1Lv0COey53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AI+%EC%BB%B4%ED%8F%AC%EB%84%8C%ED%8A%B8+%EC%B6%94%EC%83%81%ED%99%94+%EB%AA%A8%EB%8D%B8+%EA%B8%B0%EB%B0%98+%EC%9E%90%EC%9C%A8%ED%98%95+IoT+%ED%86%B5%ED%95%A9%EA%B0%9C%EB%B0%9C%ED%99%98%EA%B2%BD+%EA%B5%AC%ED%98%84&rft.jtitle=The+journal+of+the+institute+of+internet%2C+broadcasting+and+communication+%3A+JIIBC&rft.au=%EA%B9%80%EC%84%9C%EC%97%B0&rft.au=%EC%9C%A4%EC%98%81%EC%84%A0&rft.au=%EC%9D%80%EC%84%B1%EB%B0%B0&rft.au=%EC%B0%A8%EC%8B%A0&rft.date=2021-10-31&rft.issn=2289-0238&rft.eissn=2289-0246&rft.volume=21&rft.issue=5&rft.spage=71&rft.epage=77&rft_id=info:doi/10.7236%2FJIIBC.2021.21.5.7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13076001366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