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P 기법을 활용한 도로 인프라 측면에서의 자율주행차량 주행 난이도 비교분석

본 연구는 주행 고난이도 상황에서 인프라 정보 연계를 통해 도로 상황 인지 수준이 고도화 되면 자율주행 수준을 높일 것으로 판단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주행하기 어려운 고난이도 상황 을 도로 인프라 운영 측면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난이도 평가 지표를 도로 인프라 조건 및 주행상황 등 3단계로 구분하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후 계층화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단 속류 도로가 연속류 도로보다 주행 난이도가 월등히 높고, 단속류 도로 하위의 비신호 교차로 와 회전교차로의 주행 난이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난이도가 높은 6가지 주행 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20; no. 6; pp. 214 - 227
Main Authors 위정란, 이종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ITS학회 31.1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21.20.6.214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주행 고난이도 상황에서 인프라 정보 연계를 통해 도로 상황 인지 수준이 고도화 되면 자율주행 수준을 높일 것으로 판단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주행하기 어려운 고난이도 상황 을 도로 인프라 운영 측면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난이도 평가 지표를 도로 인프라 조건 및 주행상황 등 3단계로 구분하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후 계층화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단 속류 도로가 연속류 도로보다 주행 난이도가 월등히 높고, 단속류 도로 하위의 비신호 교차로 와 회전교차로의 주행 난이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난이도가 높은 6가지 주행 상황도 비신 호교차로 및 회전교차로에서 발생되는 상황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난이 도는 다른 차량과의 상충 가능성이 높고 도로에서 차량 스스로가 인지해야 할 요소들이 많으 며 현재 주행하는 주행흐름에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L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riving difficulty of automated vehicles in terms of road infrastructure operation. It was judged out of this study that the level of automated driving would be enhanced if the road situation recognition ability was advance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infrastructure information during the difficult driving situations. The difficulty evaluation index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a survey of experts and an AHP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e AHP showed that the driving difficulty of the interrupted flow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uninterrupted flow. The AHP results also showed that and the driving difficulty of unsignalized intersections and roundabouts under an interrupted flow was evaluated as the highest. The top six driving situations with high difficulty were also evaluated to occur under unsignalized intersections and roundabouts. 본 연구는 주행 고난이도 상황에서 인프라 정보 연계를 통해 도로 상황 인지 수준이 고도화되면 자율주행 수준을 높일 것으로 판단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주행하기 어려운 고난이도 상황을 도로 인프라 운영 측면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난이도 평가 지표를 도로 인프라 조건 및 주행상황 등 3단계로 구분하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후 계층화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단속류 도로가 연속류 도로보다 주행 난이도가 월등히 높고, 단속류 도로 하위의 비신호 교차로와 회전교차로의 주행 난이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난이도가 높은 6가지 주행 상황도 비신호교차로 및 회전교차로에서 발생되는 상황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난이도는 다른 차량과의 상충 가능성이 높고 도로에서 차량 스스로가 인지해야 할 요소들이 많으며 현재 주행하는 주행흐름에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주행 고난이도 상황에서 인프라 정보 연계를 통해 도로 상황 인지 수준이 고도화되면 자율주행 수준을 높일 것으로 판단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주행하기 어려운 고난이도 상황을 도로 인프라 운영 측면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난이도 평가 지표를 도로 인프라 조건 및주행상황 등 3단계로 구분하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후 계층화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단속류 도로가 연속류 도로보다 주행 난이도가 월등히 높고, 단속류 도로 하위의 비신호 교차로와 회전교차로의 주행 난이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난이도가 높은 6가지 주행 상황도 비신호교차로 및 회전교차로에서 발생되는 상황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난이도는 다른 차량과의 상충 가능성이 높고 도로에서 차량 스스로가 인지해야 할 요소들이 많으며 현재 주행하는 주행흐름에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riving difficulty of automated vehicles in terms of road infrastructure operation. It was judged out of this study that the level of automated driving would be enhanced if the road situation recognition ability was advance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infrastructure information during the difficult driving situations. The difficulty evaluation index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a survey of experts and an AHP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e AHP showed that the driving difficulty of the interrupted flow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uninterrupted flow. The AHP results also showed that and the driving difficulty of unsignalized intersections and roundabouts under an interrupted flow was evaluated as the highest. The top six driving situations with high difficulty were also evaluated to occur under unsignalized intersections and roundabouts. KCI Citation Count: 1
본 연구는 주행 고난이도 상황에서 인프라 정보 연계를 통해 도로 상황 인지 수준이 고도화 되면 자율주행 수준을 높일 것으로 판단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주행하기 어려운 고난이도 상황 을 도로 인프라 운영 측면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난이도 평가 지표를 도로 인프라 조건 및 주행상황 등 3단계로 구분하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후 계층화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단 속류 도로가 연속류 도로보다 주행 난이도가 월등히 높고, 단속류 도로 하위의 비신호 교차로 와 회전교차로의 주행 난이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난이도가 높은 6가지 주행 상황도 비신 호교차로 및 회전교차로에서 발생되는 상황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난이 도는 다른 차량과의 상충 가능성이 높고 도로에서 차량 스스로가 인지해야 할 요소들이 많으 며 현재 주행하는 주행흐름에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uthor 이종덕
위정란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위정란
– sequence: 2
  fullname: 이종덕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9293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0LtKA0EYBeBBFIyXJxBkGguLjXPbndkyiHdBkfTD3kaGxER209jKNqlM4Z1dRWy0E1GJ4BM5k3dwNTb_4cDHKf4ZMNnpdhIAFjCqYyKwu9LSvaxOEMHVqXt1gtkEqBEqmIM58SdBDXMqHMQ5mwbzWaZDRD3CfYRIDejG5j78Hr6Y1wtb5nB0U9jb59FFAc1Zbh4KaMvh6Dw35Re0wwfz_GavBjYvbHkN7d3AFk_28Wt02bcvT-a-D8cFmtMKvFUD0Hzm3-8D85HbvJwDUypoZ8n8f86C5vpac3XT2d3b2Fpt7DqJ4MRRggeIiiRkEVI89iIaJ4GKQ4wpi7xQiQgRRqMQMeqKyI-xz1EScBIqrJSLYzoLlseznVTJVqRlN9B_ediVrVQ2Dppb0vcRZYhUdmlsWzrradmJs7bcbuzs_f4Sceq6vkeR4JVbHLskSHs6aifyONVHQXoiGWKce_QH5QOTP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88.3
DOI 10.12815/kits.2021.20.6.214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conomics
Journalism & Communications
DocumentTitleAlternate Comparative Analysis of Driving Difficulty of Automated Vehicles in Therms of Road Infrastructure Using AHP Method
EISSN 2384-1729
EndPage 22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903402
JAKO202107355963087
404776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72-f87a038eb4c0f7d6c3deafdb1134c6bf8c0243cb04358c9d1970ea72bf1ff51d3
ISSN 1738-0774
IngestDate Sat Jul 13 03:11:46 EDT 2024
Fri Dec 22 12:04:03 EST 2023
Fri Jun 21 15:40:10 EDT 2024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6
Keywords 도로 인프라
Connected Automated Driv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Road Infrastructure
자율협력주행
Driving Difficulty Condition
계층화 분석
주행 고난이도 조건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2-f87a038eb4c0f7d6c3deafdb1134c6bf8c0243cb04358c9d1970ea72bf1ff51d3
Notes KISTI1.1003/JNL.JAKO202107355963087
http://journal.kits.or.kr/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0735596308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903402
kisti_ndsl_JAKO202107355963087
earticle_primary_40477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1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1-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1
  text: 2021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韓國ITS學會 論文誌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PublicationYear 2021
Publisher 한국ITS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ITS학회
SSID ssib036279002
ssib053377138
ssib012146223
ssib023739049
ssib004698092
ssib008451679
ssib044738259
Score 2.164483
Snippet 본 연구는 주행 고난이도 상황에서 인프라 정보 연계를 통해 도로 상황 인지 수준이 고도화 되면 자율주행 수준을 높일 것으로 판단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주행하기 어려운 고난이도 상황 을 도로 인프라 운영 측면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난이도 평가 지표를 도로 인프라 조건 및 주행상황 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riving difficulty of automated vehicles in terms of road infrastructure operation. It was judged out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주행 고난이도 상황에서 인프라 정보 연계를 통해 도로 상황 인지 수준이 고도화되면 자율주행 수준을 높일 것으로 판단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주행하기 어려운 고난이도 상황을 도로 인프라 운영 측면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난이도 평가 지표를 도로 인프라 조건 및주행상황 등 3단계로...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214
SubjectTerms 전자/정보통신공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개요 2. 연구의 흐름 Ⅱ. 선행연구 고찰 1. 자율협력주행의 필요성 2. 자율주행 해제상황 및 사고 분석 3. 도로 인프라의 구분 4. 소결 Ⅲ. 연구 방법론 1. AHP 분석 설명 및 방법론 선정 이유 2. AHP 설문 평가 지표 설계 3. AHP 설문조사 수행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Title AHP 기법을 활용한 도로 인프라 측면에서의 자율주행차량 주행 난이도 비교분석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0477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0735596308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92931
Volume 2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ITS학회 논문지, 2021, 20(6), 98, pp.214-227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NAcNWWA1wQlFcpVBZiuVQJfqzt3aPduGqLCkgEqTfLzyoKJChJLxw4oFx6okiUlxJQxaW9VaigIvWLaucfmF27iUuQeFyczczs7O6s1zOzj1mEboPnrzIvZiWPz78RhXklPzRgXEWe4psMXhtxbm31vrH0mKys6WsTk68Lu5Y2On45eP7bcyX_06sAg37lp2T_oWeHTAEAaehfeEIPw_Ov-thaejiPHQvbFNsydmxsq5jp2FnArIIpAVwFM4bZggBZ2GICogNknpPTRaDiCUvJQCIjcONUJMdxSIYDBBBycoZtIqhNzGSeANK8FMhJM05OjgOERXnC0oCT4G1gygRHWaCgEKgJmx8nyqqpjpjbZFhxgbOZqCbIQBfFAcQQkKxOlaLxjR3GC2IadrgIMLWXq4942soabQigBnwXsaWDjS1AwM7EDjTdwnQ4pZy3KyvIkoXUbd5kKp8iqeSCslRMBQnl8h8th2UrGFGzsd4a3xwF0DDKfaB8YkZVTsI_DnWJCbpENrNLiMqRgIGBREpgM7KiAlLlwkA7rU1IwTBRsyAKYzpPpSI-SL3W4eHnVT7pUTbKw7zFCOO_aP7hfswV694DnhW-9-BhGjxK5CQ6o5qm2Pmw-sIpLIQzKhcW4im_6Hm00Kvwe-ILFqeqmRorLOSCuQQfgFHEOUJASAUPHJwPKFTcPz8UXx4rjDfz7ngjuRGZD0DwL7nTVQMzsdGKC2Zi9QI6n_t3kpXRXkQT9eY0Onty_L89jWZzklr7qXRHOnU-q30J1WBIS8eH-8nX7bTflQYfeunHvcF2T0pedZOdnpT2Dwdvukn_SEoPd5K9g_TdVtrtpf33UvppK-3tpl-OBm830_3d5POmlP2RkpdAcAAMpORH9_jbVvK9m3b7l1F10akuLJXy21BKETXVUkxNT9Zo5JNAjs3QCLQw8uLQVxSNBIYf04DHFg1ApJpOAxYqzJQjz1T9WIljXQm1K2iq0WxE15DkaVpIAs_TwRciMdO8KIw9pkfg2YRGqHoz6OqJSN1nWcwbl8jENI0ZNCck7DbC9hP3N2_NDLoFonfrQc3lcev573rTrbdc8M6XXbB8NSKr1__EZRadGw2oG2iq09qIboLt3_HnxNv4E_8B3CM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AHP+%EA%B8%B0%EB%B2%95%EC%9D%84+%ED%99%9C%EC%9A%A9%ED%95%9C+%EB%8F%84%EB%A1%9C+%EC%9D%B8%ED%94%84%EB%9D%BC+%EC%B8%A1%EB%A9%B4%EC%97%90%EC%84%9C%EC%9D%98+%EC%9E%90%EC%9C%A8%EC%A3%BC%ED%96%89%EC%B0%A8%EB%9F%89+%EC%A3%BC%ED%96%89+%EB%82%9C%EC%9D%B4%EB%8F%84+%EB%B9%84%EA%B5%90%EB%B6%84%EC%84%9D&rft.jtitle=%E9%9F%93%E5%9C%8BITS%E5%AD%B8%E6%9C%83+%EF%A5%81%E6%96%87%E8%AA%8C&rft.au=%EC%9C%84%EC%A0%95%EB%9E%80&rft.au=%EC%9D%B4%EC%A2%85%EB%8D%95&rft.au=Wee%2C+Jeongran&rft.au=Lee%2C+Jongdeok&rft.date=2021-12-31&rft.issn=1738-0774&rft.eissn=2384-1729&rft.volume=20&rft.issue=6&rft.spage=214&rft.epage=227&rft_id=info:doi/10.12815%2Fkits.2021.20.6.21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10735596308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077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077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077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