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교사들의 베트남어 습득을 위한 강좌 : 글로벌 · 다문화 교육역량 육성의 일환

기회의 땅 베트남에는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공급이 절실하 다. 국내 교실에서는 베트남 배경의 학생들이 그 수에 있어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교사들이 베트남어로 소통할 수 있다면 긍정적 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최초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이 대학생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다문 화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베트남어를 개발· 운영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베트남어 교육은 방학을 이용하여 두 차례 실 시되었고, 총 20명이 참가하였다. 1, 2차 교육 모두에서 참가자들의 글로벌·다문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7; no. 1; pp. 469 - 486
Main Authors 이윤영, 배정옥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8.0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Abstract 기회의 땅 베트남에는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공급이 절실하 다. 국내 교실에서는 베트남 배경의 학생들이 그 수에 있어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교사들이 베트남어로 소통할 수 있다면 긍정적 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최초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이 대학생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다문 화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베트남어를 개발· 운영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베트남어 교육은 방학을 이용하여 두 차례 실 시되었고, 총 20명이 참가하였다. 1, 2차 교육 모두에서 참가자들의 글로벌·다문화 교육 역량은 집단상 유의미한 증가 를 보였으며, 95%의 학습자들에게서 향상이 관찰되었다. 참가자들은 더 많은 학생들이 베트남어 학습 기회를 가지게 되기를 바란다고 했으며, 베트남 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지식과 이해를 넓혔으며, 베트남어로 소통하는 자신들을 그려보게 되었다. 또한 베트남어 심화학습과 베트남 문화와의 접촉을 이어 갈 수 있는 새 방안의 마련을 건의하였다. 타 양성기관들이 본 사례를 응용하여, 조화로운 한-베 다문화 학교 운영과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bstractList 기회의 땅 베트남에는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공급이 절실하다. 국내 교실에서는 베트남 배경의 학생들이 그 수에 있어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교사들이 베트남어로 소통할 수 있다면 긍정적 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최초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이 대학생 예비교사들의 글로벌·다문화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베트남어를 개발·운영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베트남어 교육은 방학을 이용하여 두 차례 실시되었고, 총 20명이 참가하였다. 1, 2차 교육 모두에서 참가자들의 글로벌·다문화 교육 역량은 집단상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95%의 학습자들에게서 향상이 관찰되었다. 참가자들은 더 많은 학생들이 베트남어 학습 기회를 가지게 되기를 바란다고 했으며, 베트남 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지식과 이해를 넓혔으며, 베트남어로 소통하는 자신들을 그려보게 되었다. 또한 베트남어 심화학습과 베트남 문화와의 접촉을 이어 갈 수 있는 새 방안의 마련을 건의하였다. 타 양성기관들이 본 사례를 응용하여, 조화로운 한-베 다문화 학교 운영과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Vietnam is a country where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mpanies have branched out, and calibers who can speak Vietnamese are on great demands. In the multicultural classroom, students of Vietnamese background occupy the first or second largest composition amo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refore, if teachers can teach in Vietnamese, the positive effects can be promising. This study presents and evaluates a Vietnamese language class developed and opera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y a university to raise prospective teachers’ global-multicultural competences. Two series of the classes were conducted during two vacations of 2018, and 20 students participated. As a results,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global-multicultural competences; About 95 percent of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improvement in the competences. The participants stated opinions: the classes should expand to offer opportunities for many other students who may want to acquire Vietnamese; the participants had better understandings of the Vietnamese cultures, envisioned their role as a Vietnamese speaker and suggested extended opportunities for contacts with Vietnamese cultures. The study hopes that other universities apply the educational model and the case study and that, as a result, teachers can contribute to building harmonious Korean-Vietnamese relations using Vietnamese. KCI Citation Count: 0
기회의 땅 베트남에는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공급이 절실하 다. 국내 교실에서는 베트남 배경의 학생들이 그 수에 있어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교사들이 베트남어로 소통할 수 있다면 긍정적 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최초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이 대학생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다문 화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베트남어를 개발· 운영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베트남어 교육은 방학을 이용하여 두 차례 실 시되었고, 총 20명이 참가하였다. 1, 2차 교육 모두에서 참가자들의 글로벌·다문화 교육 역량은 집단상 유의미한 증가 를 보였으며, 95%의 학습자들에게서 향상이 관찰되었다. 참가자들은 더 많은 학생들이 베트남어 학습 기회를 가지게 되기를 바란다고 했으며, 베트남 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지식과 이해를 넓혔으며, 베트남어로 소통하는 자신들을 그려보게 되었다. 또한 베트남어 심화학습과 베트남 문화와의 접촉을 이어 갈 수 있는 새 방안의 마련을 건의하였다. 타 양성기관들이 본 사례를 응용하여, 조화로운 한-베 다문화 학교 운영과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Vietnam is a country where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mpanies have branched out, and calibers who can speak Vietnamese are on great demands. In the multicultural classroom, students of Vietnamese background occupy the first or second largest composition amo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refore, if teachers can teach in Vietnamese, the positive effects can be promising. This study presents and evaluates a Vietnamese language class developed and opera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y a university to raise prospective teachers' global-multicultural competences. Two series of the classes were conducted during two vacations of 2018, and 20 students participated. As a results,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global-multicultural competences; About 95 percent of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improvement in the competences. The participants stated opinions: the classes should expand to offer opportunities for many other students who may want to acquire Vietnamese; the participants had better understandings of the Vietnamese cultures, envisioned their role as a Vietnamese speaker and suggested extended opportunities for contacts with Vietnamese cultures. The study hopes that other universities apply the educational model and the case study and that, as a result, teachers can contribute to building harmonious Korean-Vietnamese relations using Vietnamese. 기회의 땅 베트남에는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공급이 절실하다. 국내 교실에서는 베트남 배경의 학생들이 그 수에 있어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교사들이 베트남어로 소통할 수 있다면 긍정적 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최초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이 대학생 예비교사들의 글로벌·다문화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베트남어를 개발·운영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베트남어 교육은 방학을 이용하여 두 차례 실시되었고, 총 20명이 참가하였다. 1, 2차 교육 모두에서 참가자들의 글로벌·다문화 교육 역량은 집단상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95%의 학습자들에게서 향상이 관찰되었다. 참가자들은 더 많은 학생들이 베트남어 학습 기회를 가지게 되기를 바란다고 했으며, 베트남 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지식과 이해를 넓혔으며, 베트남어로 소통하는 자신들을 그려보게 되었다. 또한 베트남어 심화학습과 베트남 문화와의 접촉을 이어 갈 수 있는 새 방안의 마련을 건의하였다. 타 양성기관들이 본 사례를 응용하여, 조화로운 한-베 다문화 학교 운영과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uthor 이윤영
배정옥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윤영
– sequence: 2
  fullname: 배정옥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9115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E1LAkEAhpcoyMy_EHPp0EGYr_2wm0gfliCE92F2GmPR1tj10i3EQ5mHwCwFpQwPHQxKkgw69XOc8T-kGZ2e9_DwHN41Y9kv-XLJiGDi0DgklrX8v01n1YiFoedCSm1qJhCKGL5uXarP6mR0oysD1ejrbguo4eO0NlaVZ333DnRtpBpd3a0C3alOmx0weW3qpzrYBpPxhep11LAOvj-Auu6rwXjavgXzVKen71_UwxWYr-rbPKq7X9N2a91YyfNiKGN_jBq53Z1caj-eye6lU8lMXDo2jlsQS8hdSoWDBIWm61Ir4VBkUmJhgiVypIk45ZJLiamLXZGwiBBSYMcRlLskamwtsn6QZwXhsRL3fnlSYoWAJY9yaZawTduEeOZuLtyCF5Y95h-HRXaQPMxiiBFC0Jr_BJE58zYWnuRB2RNFyc4C75QH54zMDILID2PZjz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Vietnamese Language Classes to Develop Prospective Teachers’ Global-Multicultural Competences
EISSN 2384-0366
EndPage 48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757502
JAKO202111065911015
391131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M~E
ID FETCH-LOGICAL-e872-602e0ab44c81c405bb4698415436232e18e51a4aeaee24b2bc963ccec288c4ab3
ISSN 2384-0358
IngestDate Tue Nov 21 21:42:30 EST 2023
Fri Dec 22 12:01:14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대학생 예비교사
글로벌·다문화 교육 역량
Prospective Teachers
Global and Multicultural Competences
베트남어 강좌
Vietnamese Language Clas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2-602e0ab44c81c405bb4698415436232e18e51a4aeaee24b2bc963ccec288c4ab3
Notes KISTI1.1003/JNL.JAKO202111065911015
http://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36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1106591101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757502
kisti_ndsl_JAKO202111065911015
earticle_primary_39113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10228
PublicationDateYYYYMMDD 2021-02-28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21
  text: 20210228
  day: 2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1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sib022502398
Score 1.7511555
Snippet 기회의 땅 베트남에는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공급이 절실하 다. 국내 교실에서는 베트남 배경의 학생들이 그 수에 있어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교사들이 베트남어로 소통할 수 있다면 긍정적 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최초로...
Vietnam is a country where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mpanies have branched out, and calibers who can speak Vietnamese are on great demands. In the...
기회의 땅 베트남에는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공급이 절실하다. 국내 교실에서는 베트남 배경의 학생들이 그 수에 있어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교사들이 베트남어로 소통할 수 있다면 긍정적 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최초로...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469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I. 서론 1. 문제의 제기와 배경 2. 연구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글로벌·다문화 교육역량의 정의와 교사 역할의 중요성 2. 한국과 베트남, 베트남어 강좌 보급의 실태 3. 베트남어 관련 연구 동향과 다문화교실 관련 베트남어 연구 Ⅲ. 연구 방법 1. 베트남어 강좌 목적 2. 교육과정 개발 3. 교육과정 구성 4. 연구 참여자 5. 강사 6. 설문 도구와 자료 수집 절차 7. 데이터 분석 Ⅳ. 연구 결과 1. 글로벌·다문화 교육역량 설문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ⅤI. 결론 References
Title 예비교사들의 베트남어 습득을 위한 강좌 : 글로벌 · 다문화 교육역량 육성의 일환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91131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1106591101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91150
Volume 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21, 7(1), , pp.469-48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9tL3oRxa_6UYI4pyWSTCbJxFuS3VIr1csKvYV8rZSWXVnbiweRsgetPQi1uoVdtNKDhwpaLFbw5J_TZP8H35tsuqkfoF52J3lv3ry8N5n5zWTmjSRdB8TA1CgwlIYJYxNmxbrCozhWQsOIEEEDSsWpgbk75sw9NjtvzI-NnyitWlpZDm9Ej367r-R_vAr3wK-4S_YfPHskFG5AGvwLv-Bh-P0rH5OaR2xOOCc1l7g24YzUHOIaxFaRxClxPCTZOnGYYK4Cf0VwAw2YqoRDBpEfublgMonLKkKAEJYLgKy5AJ7TbE8UBwKhOK8iClbxAmgOJdwTkw3iNsflFCDF0TBXXjjSPUpcS2jDXaGgi_qiNiDVJjarHHscyAsSMGERpyrUmibcrhyjgU6uVn5UkXK9QiYvo_HRvrilYq2Eh6vw23mEUngx8oijSekLBELyWc-rl6ZQikJYoQkrHKONWFw0jysexCnsBCyOUZ53oVppH7tongHrMEXV88DzRV9i_fLK5P0Cy8-jGUIM9nP07xxPQL-DEQHGdQ0b7LnHtaJhpDj1Z4w-h1OdYeRHbXQtjm49algZs5hhjxpugPSWaYujSI-0RvA1rLgwLsPBygLAq2a7UYJX9dPSqaEXZCfnPSONLbbOSs2s-zT92jncf5Gt7qYbO1m_K6d7bwdrB-nq--zVZzlb2083-lm_I2e9zmCzJx9-3Mzercs35cODJ-l2L91bl79_kdPnO-nuwWDrpYyietvZ6w_pm2cypjqfUGjW_zbY6p6T6tO1ujejDA8IURJuUcVUaaIGIWMR1yIYeIQhHocKiJQBKtNpovHE0AIWJEGSUBbSMILeJoqSiHIesSDUz0sTzVYzuSjJcayFDdWgsWrFDAzKA9NuRJqlG3FsgjUnpQuFtfwHeRgYP_fXpDQljOc344dL_qxz-y5WFgDVJnoAwPakdA2s6i9GCz6Gcsf_-y1_se3DgPWWb1swXlLppT_KvyydHNW-K9LEcnsluQo4eDmcEnXkB0e1nn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8%88%EB%B9%84%EA%B5%90%EC%82%AC%EB%93%A4%EC%9D%98+%EB%B2%A0%ED%8A%B8%EB%82%A8%EC%96%B4+%EC%8A%B5%EB%93%9D%EC%9D%84+%EC%9C%84%ED%95%9C+%EA%B0%95%EC%A2%8C+%3A+%EA%B8%80%EB%A1%9C%EB%B2%8C+%C2%B7+%EB%8B%A4%EB%AC%B8%ED%99%94+%EA%B5%90%EC%9C%A1%EC%97%AD%EB%9F%89+%EC%9C%A1%EC%84%B1%EC%9D%98+%EC%9D%BC%ED%99%98&rft.jtitle=Th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28JCCT%29&rft.au=%EC%9D%B4%EC%9C%A4%EC%98%81&rft.au=%EB%B0%B0%EC%A0%95%EC%98%A5&rft.date=2021-02-28&rft.issn=2384-0358&rft.volume=7&rft.issue=1&rft.spage=469&rft.epage=486&rft.externalDocID=39113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