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교사들의 베트남어 습득을 위한 강좌 : 글로벌 · 다문화 교육역량 육성의 일환
기회의 땅 베트남에는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공급이 절실하 다. 국내 교실에서는 베트남 배경의 학생들이 그 수에 있어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교사들이 베트남어로 소통할 수 있다면 긍정적 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최초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이 대학생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다문 화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베트남어를 개발· 운영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베트남어 교육은 방학을 이용하여 두 차례 실 시되었고, 총 20명이 참가하였다. 1, 2차 교육 모두에서 참가자들의 글로벌·다문화...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7; no. 1; pp. 469 - 48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8.0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Summary: | 기회의 땅 베트남에는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공급이 절실하 다. 국내 교실에서는 베트남 배경의 학생들이 그 수에 있어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교사들이 베트남어로 소통할 수 있다면 긍정적 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최초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이 대학생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다문 화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베트남어를 개발· 운영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베트남어 교육은 방학을 이용하여 두 차례 실 시되었고, 총 20명이 참가하였다. 1, 2차 교육 모두에서 참가자들의 글로벌·다문화 교육 역량은 집단상 유의미한 증가 를 보였으며, 95%의 학습자들에게서 향상이 관찰되었다. 참가자들은 더 많은 학생들이 베트남어 학습 기회를 가지게 되기를 바란다고 했으며, 베트남 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지식과 이해를 넓혔으며, 베트남어로 소통하는 자신들을 그려보게 되었다. 또한 베트남어 심화학습과 베트남 문화와의 접촉을 이어 갈 수 있는 새 방안의 마련을 건의하였다. 타 양성기관들이 본 사례를 응용하여, 조화로운 한-베 다문화 학교 운영과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11065911015 http://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36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