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훈련을 위한 다목적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 개발 및 효과성 검증
목적 : 본 연구는 다목적 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을 위한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광역시 소재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3명을 선정 하였다. 연구도구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 훈련용 다목적 암맹상자를 활용하였으며, 평가도구는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SWM), Two-point Discrimination Test(TD...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 27; no. 3; pp. 33 - 44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작업치료학회
30.09.2019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0134 2671-4450 |
DOI | 10.14519/kjot.2019.27.3.03 |
Cover
Summary: | 목적 : 본 연구는 다목적 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을 위한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광역시 소재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3명을 선정 하였다.
연구도구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 훈련용 다목적 암맹상자를 활용하였으며, 평가도구는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SWM), Two-point Discrimination Test(TD), ModifiedMoberg Pickup Test(MPT), MVPT-3와 QUEST 2.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은 무작위 할당을 통해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초기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프로그램을 1회당 30분간 주 3회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받도록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모두 6주간 훈련 후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SWM, TD, MPT 및 MVPT-3 점수 차이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또한 실험군에서는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시행 후SWM과 TD 수치의 감소, MPT 시간의 감소 그리고 MVPT-3 점수는 향상됨을 보였다. 다목적 암맹상자 활용 후 사용성 평가는 모든 문항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대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다목적 암맹상자를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향후 훈련도구뿐만 아니라 평가도구로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developed Multi-purpose Blind Box and applied to stroke patients who suffered from sensory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to provide the role as a training tool.
Methods: Thirty three stroke patients were participated as subjects. Multi-purpose blind box developed in thisstudy were used as research tool and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SWM), Two-point DiscriminationTest(TD), Modified Moberg Pickup Test(MPT), MVPT-3 and QUEST 2.0 were used as assessment tools. Theexperimental group conducted Multi-purpose Blind Box training program 30 minutes per day with three times aweek while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Results: The score differences of SWM, TD, MPT and MVPT-3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ying Multi-purposeBlind Box trai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p<.0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decrease in SWM and TD scores, a decrease in MPT time and an improvement in MVPT-3 scores after trainingwith Multi-purpose blind box. Usability after using Multi-purpose blind box were rated more than average in allquestion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using Multi-purpose blind box for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ory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of stroke patients and therefore it further could be applied for assessment tool aswell.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0134 2671-4450 |
DOI: | 10.14519/kjot.2019.27.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