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근 근전도 비교를 통한 턱관절 기능장애 평가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학기술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과거에도 난치성 질환은 여전히 존재 하였듯이 지금도 난치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그 중 턱관절장애가 있다. 현재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의료진들의 진단은 환자의 발언, 의사의 청음진단과 자를 이용한 진단, X-ray 촬영 진단 방식을 고수하며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정확한 증상 여부, 의사 본인의 진단 실력과 경력이 중요하고, 증상의 경중에 따른 진단 횟수의 증가 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용은 막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4; no. 4; pp. 349 - 35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11.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DOI | 10.17703/JCCT.2018.4.4.349 |
Cover
Summary: |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학기술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과거에도 난치성 질환은 여전히 존재 하였듯이 지금도 난치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그 중 턱관절장애가 있다. 현재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의료진들의 진단은 환자의 발언, 의사의 청음진단과 자를 이용한 진단, X-ray 촬영 진단 방식을 고수하며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정확한 증상 여부, 의사 본인의 진단 실력과 경력이 중요하고, 증상의 경중에 따른 진단 횟수의 증가 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용은 막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작운동(최대폐구)시 교근에서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MVC를 통해 정량화하였다. 정량화된 근전도는 Cortex로 비교, 평가하여 턱관절 상태 평가 기준 지표를 확립할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809355935871 http://www.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27 |
ISSN: | 2384-0358 2384-0366 |
DOI: | 10.17703/JCCT.2018.4.4.3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