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근 근전도 비교를 통한 턱관절 기능장애 평가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학기술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과거에도 난치성 질환은 여전히 존재 하였듯이 지금도 난치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그 중 턱관절장애가 있다. 현재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의료진들의 진단은 환자의 발언, 의사의 청음진단과 자를 이용한 진단, X-ray 촬영 진단 방식을 고수하며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정확한 증상 여부, 의사 본인의 진단 실력과 경력이 중요하고, 증상의 경중에 따른 진단 횟수의 증가 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용은 막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4; no. 4; pp. 349 - 354
Main Authors 어승준, 전진우, 염호준, 한휘종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11.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18.4.4.349

Cover

Abstract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학기술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과거에도 난치성 질환은 여전히 존재 하였듯이 지금도 난치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그 중 턱관절장애가 있다. 현재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의료진들의 진단은 환자의 발언, 의사의 청음진단과 자를 이용한 진단, X-ray 촬영 진단 방식을 고수하며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정확한 증상 여부, 의사 본인의 진단 실력과 경력이 중요하고, 증상의 경중에 따른 진단 횟수의 증가 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용은 막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작운동(최대폐구)시 교근에서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MVC를 통해 정량화하였다. 정량화된 근전도는 Cortex로 비교, 평가하여 턱관절 상태 평가 기준 지표를 확립할 것이다.
AbstractList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학기술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과거에도 난치성 질환은 여전히 존재하였듯이 지금도 난치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그 중 턱관절장애가 있다. 현재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의료진들의진단은 환자의 발언, 의사의 청음진단과 자를 이용한 진단, X-ray 촬영 진단 방식을 고수하며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정확한 증상 여부, 의사 본인의 진단 실력과 경력이 중요하고, 증상의 경중에 따른 진단 횟수의 증가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용은 막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작운동(최대폐구)시 교근에서 발생되는근전도 신호를 %MVC를 통해 정량화하였다. 정량화된 근전도는 Cortex로 비교, 평가하여 턱관절 상태 평가 기준 지표를확립할 것이다. Human beings have made remarkable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s well as technological advances. However, as was the case in the past, incurable diseases still exist: temporo-mandibular joint (TMJ). The diagnosis of the Korean medical staff, currently called a "medical advance," is adhering to the outdated patient's comments, diagnosis using a doctor's auditory diagnosis and a ruler, and diagnosis of X-ray imag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ccurate patient symptoms, to have a doctor's own diagnosis and experience, to increase the number of diagnoses due to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and to cover the costs of medical care. To solve this problem, the core conductive signal generated from the bridge was quantified through %MVC. Quantified EMG will be assessed and compared with Cortex to establish a jaw joint condition evaluation criterion. KCI Citation Count: 0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학기술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과거에도 난치성 질환은 여전히 존재 하였듯이 지금도 난치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그 중 턱관절장애가 있다. 현재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의료진들의 진단은 환자의 발언, 의사의 청음진단과 자를 이용한 진단, X-ray 촬영 진단 방식을 고수하며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정확한 증상 여부, 의사 본인의 진단 실력과 경력이 중요하고, 증상의 경중에 따른 진단 횟수의 증가 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용은 막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작운동(최대폐구)시 교근에서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MVC를 통해 정량화하였다. 정량화된 근전도는 Cortex로 비교, 평가하여 턱관절 상태 평가 기준 지표를 확립할 것이다.
Human beings have made remarkable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s well as technological advances. However, as was the case in the past, incurable diseases still exist: temporo-mandibular joint (TMJ). The diagnosis of the Korean medical staff, currently called a "medical advance," is adhering to the outdated patient's comments, diagnosis using a doctor's auditory diagnosis and a ruler, and diagnosis of X-ray imag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ccurate patient symptoms, to have a doctor's own diagnosis and experience, to increase the number of diagnoses due to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and to cover the costs of medical care. To solve this problem, the core conductive signal generated from the bridge was quantified through %MVC. Quantified EMG will be assessed and compared with Cortex to establish a jaw joint condition evaluation criterion.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학기술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과거에도 난치성 질환은 여전히 존재하였듯이 지금도 난치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그 중 턱관절장애가 있다. 현재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의료진들의 진단은 환자의 발언, 의사의 청음진단과 자를 이용한 진단, X-ray 촬영 진단 방식을 고수하며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정확한 증상 여부, 의사 본인의 진단 실력과 경력이 중요하고, 증상의 경중에 따른 진단 횟수의 증가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용은 막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작운동(최대폐구)시 교근에서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MVC를 통해 정량화하였다. 정량화된 근전도는 Cortex로 비교, 평가하여 턱관절 상태 평가 기준 지표를 확립할 것이다.
Author 전진우
한휘종
어승준
염호준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어승준
– sequence: 2
  fullname: 전진우
– sequence: 3
  fullname: 염호준
– sequence: 4
  fullname: 한휘종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932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D1Lw1AYhS9SwVr7Bxwki4ND6r25n5mkBD9aCwXJfrlNbyS0ppJ0cesQRF3q0k2kS_cKFhX6i_LxH4xW5HA4Ly8PZzi7oBKOQg3APoINxDnEx23HcRsWRKJBSmFib4GqhQUxIWas8n9TsQPqcRz0ICGcUBuhKjhJV8_px9oonc-TbJoY2VdS_rLF2ijuV8XsxSiSt_R9ks8fjPRzmT0t8tdFPpsbxfQxXU72wLavhrGu_2UNuGenrnNhdrrnLafZMbXg0PSo5fvUIh5D2uZQKOUjQSFiBGIPIdinzEa414eKEy2Uj1kprZCtSM8WSuAaONrUhpEvB14gRyr4zeuRHESyeeW2JBaMCgZL9nDDDoJ4HMiwHw9lu3nZ_RkI2pjS0oKjkjvYcFpF48AbankbBTcqupOYCMQE_gabsnY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OI 10.17703/JCCT.2018.4.4.349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Temporo-Mandibular Disorder Syndrome Evaluation by Masseter EMG
EISSN 2384-0366
EndPage 35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865860
JAKO201809355935871
348168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M~E
ID FETCH-LOGICAL-e870-c52ff524c61e9708aaf185016403c110d56913bd0a74e8af36363ea19a4b98a83
ISSN 2384-0358
IngestDate Tue Nov 21 21:16:29 EST 2023
Fri Dec 22 12:00:37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턱관절기능장애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EMG
Cortex
근전도
TMD
MVC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0-c52ff524c61e9708aaf185016403c110d56913bd0a74e8af36363ea19a4b98a83
Notes KISTI1.1003/JNL.JAKO201809355935871
http://www.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27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0935593587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865860
kisti_ndsl_JAKO201809355935871
earticle_primary_34816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811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8-11-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11
  year: 2018
  text: 201811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18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sib022502398
Score 1.6736768
Snippet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학기술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과거에도 난치성 질환은 여전히 존재 하였듯이 지금도 난치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그 중 턱관절장애가 있다. 현재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의료진들의 진단은 환자의 발언, 의사의 청음진단과 자를 이용한 진단,...
Human beings have made remarkable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s well as technological advances. However, as was the case in the past, incurable diseases...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학기술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과거에도 난치성 질환은 여전히 존재하였듯이 지금도 난치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그 중 턱관절장애가 있다. 현재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의료진들의진단은 환자의 발언, 의사의 청음진단과 자를 이용한 진단,...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49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 이론 및 기술 1. 근전도(Electro-Myo-Gram, EMG) 2. 신호처리(Signal Processing) Ⅲ. 시스템 설계 3.1 시스템 구성 Ⅳ. 연구 내용 1. 연구 대상 2. 측정 항목 3. 측정 방법 V. 실험결과 VI. 결론 References
Title 교근 근전도 비교를 통한 턱관절 기능장애 평가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4816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0935593587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9320
Volume 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18, 4(4), , pp.349-35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NAcBXKhQsC8WqBykLsqXLxY-3dPaHYpCpBhUuQerMcx0ZVqgSF9MIB9RAh4FIuvSGUS-5FogKkflEeH8CNmV07cRWQAFmxx-vZ2ceMZmc3s7OE3LdiW3A38c2Yc2kyGOPMOLVaZuL5qZPBEBirUxR2nvrbz1l919utVH6WvJYO-s3N5PVv95X8D1chDfiKu2T_gbNzopAAMPAX7sBhuP8Vj2mtSgOPSksBnAbhxhyitZBWLSoYrQVUbAGwgVAgVdI8X0Crns73iAofUwGQ8C1PYjSwFTpDn4icptDFCBooCqKKROCbrBWAB3iaAJQsFTbks8qm8GJT2n7hqBCiC3xPhwcFqdThPtPS8j_aw_UwbJTWL1RxPtYPAKgJNBBryYrScpS8KwDgOSCxTueo6G6D5gts2zKVvGMUECIWojhUHwZULJ3YogjZWGhYMFeYabk6dnwxHLCS1LOSand1aNXcSnB16OulAYiDBsXDtaEr0G9QbDK45lnPBfbGLdC-uEAuOpwrD4OdN7VCFTq42Oct_gB3XIaxHu3Fuzqsda5KGePMkwtVDUY896U6fHTeyHzLGNbwwVL90BbL5RimaTh32QNrq9PLStZW4wq5nMuFUdW4V0ml3b1GHo5PP46_nRnwmw4Hk6OBMfkxgLTJ6MyYvT2dHX8yZoMv46-H0-E7Y_z9ZPJhNP08mh4PjdnR-_HJ4XXS2Ko1wm0zPwDETGEYAX3hZJnnsMS3U8ktEccZWJcYE85yEzBbW54vbbfZsmLOUhFnrg9XGtsyZk0pYuHeICudbie9RQzZFEkKM_XYYy3G4S2zmraUGRfSkzBHWCU3i-ZHL3WYl0jzZ5Wsq96IOq1X-1G9-uSZo2LegZ2OLgTcXiX3oJuidrIXYah2fL7oRu1eBBPSxxFySfjW2h_p3yaXFqJ5h6z0ewfpXbBz-811JRG_AFP4iEs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5%90%EA%B7%BC+%EA%B7%BC%EC%A0%84%EB%8F%84+%EB%B9%84%EA%B5%90%EB%A5%BC+%ED%86%B5%ED%95%9C+%ED%84%B1%EA%B4%80%EC%A0%88+%EA%B8%B0%EB%8A%A5%EC%9E%A5%EC%95%A0+%ED%8F%89%EA%B0%80&rft.jtitle=Th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28JCCT%29&rft.au=%EC%96%B4%EC%8A%B9%EC%A4%80&rft.au=%EC%A0%84%EC%A7%84%EC%9A%B0&rft.au=%EC%97%BC%ED%98%B8%EC%A4%80&rft.au=%ED%95%9C%ED%9C%98%EC%A2%85&rft.date=2018-11-30&rft.issn=2384-0358&rft.volume=4&rft.issue=4&rft.spage=349&rft.epage=354&rft_id=info:doi/10.17703%2FJCCT.2018.4.4.349&rft.externalDocID=34816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