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의 목활자본 연구

가장 일찍부터 가장 후대까지 지식과 정보를 확산하기 위해 사용한 인쇄술이 목활자 인쇄이다. 이 연구는 목활자 인쇄를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이념과 목활자본이 생성된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 생산의 주체 등 목활자 인쇄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경남에서 간행된 목활자본 246종을 대상으로 주제, 발행연도, 발행소, 발행지역, 인쇄자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남에서 목활자본은 88%가 문집과 족보이고, 86%가 1890-1939년까지의 50년 동안에 발행되었으며, 80%가 재사와, 누정, 서원에서 발행되었고, 81%가 낙동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29) pp. 381 - 404
Main Author 송정숙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30.12.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가장 일찍부터 가장 후대까지 지식과 정보를 확산하기 위해 사용한 인쇄술이 목활자 인쇄이다. 이 연구는 목활자 인쇄를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이념과 목활자본이 생성된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 생산의 주체 등 목활자 인쇄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경남에서 간행된 목활자본 246종을 대상으로 주제, 발행연도, 발행소, 발행지역, 인쇄자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남에서 목활자본은 88%가 문집과 족보이고, 86%가 1890-1939년까지의 50년 동안에 발행되었으며, 80%가 재사와, 누정, 서원에서 발행되었고, 81%가 낙동강의 지류인 황강, 남강, 밀양강 연안의 강안지역에서 발행되었고, 경남에서 활약한 인쇄자는 23개 지역의 91명으로 조사되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some features of the Korean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culture mainly in the Gyeongsangnam-do. The author analyzed subject, the year, the place, and the area of publication, and printers of 246 kinds of th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which were published in Gyeongsangnam-do. The result is as follows : 88% of the subjects of th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were complete works of each writers and genealogies ; 86% of the year of publication of th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were published 1891 to 1940 ; 80% of the place of publication of th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were worshiping halls for ancestors, pavilions, and private schools of Chosun Dynasty ; 81% of the area of publication of th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were along the riverside of the tributary streams of the Nakdong River ; 91 printers had printed wooden movable printing books in Gyeongsangnam-do. KCI Citation Count: 7
Bibliography:G704-000060.2004..29.020
ISSN:1225-5246
2671-8758